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국보 제26호

※ 황성열의 세계 – 문화재 : http://yellow.kr/nt.jsp

※ 국보 제26호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慶州 佛國寺 金銅毘盧遮那佛坐像) / 1962년 12월 20일 지정

경주 불국사에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경주시 토함산 기슭에 자리잡은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김대성은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전생의 부모를 위해 석굴암 석굴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불국사 비로전에 모셔져 있는 높이 1.77m의 이 불상은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한 것이다.

머리에는 머리칼을 작은 소라 모양으로 표현하였으며, 얼굴은 위엄이 있으면서도 자비로운 인상을 풍기고 있다.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은 옷은 매우 얇게 표현되어 있다.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고 있는 옷주름의 표현은 매우 사실적이다. 손모양은 오른손 검지를 왼손으로 감싸고 있어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일반적인 손모양과는 반대로 표현되었다.

이 불상은 양감과 적절한 신체비례 등에서 이상적이면서 세련된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과 함께 통일신라 3대 금동불상으로 불린다.

 

◎ 통일신라시대의 3대 금동불상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제26호) : http://yellow.kr/blog/?p=142

–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제27호) : http://yellow.kr/blog/?p=159

–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제28호) : http://yellow.kr/blog/?p=171

110171251025_1

– 경주 불국사 비로전의 금동비로자나불좌상

 

비로자나불이 최초로 나타나는 곳은 대승불교의 계율사상을 담은 경전 『범망경(梵網經)』이다. 근래의 연구에 의하면 5세기경 중국에서 찬술된 경전으로 추정된다.

불교의 진리 그 자체, 즉 불법을 상징하는 법신(法身) 비로자나불은 ‘노사나불’, ‘사나불’이라고도 한다. 비로자나(毘盧遮那, Vairocana)는 산스크리트어로 ‘태양’이라는 뜻을 의미하며, 불지(佛智)의 광대무변함을 상징하는 화엄종(華嚴宗)의 본존불이다. 무량겁해에 공덕을 쌓아 정각을 성취하고, 연화장세계에 상주하면서 대광명을 발하여 법계를 두루 비춘다고 한다.

법상종(法相宗)에서는 비로자나불을 자성신(自性身)이라 하고 노사나불과 석가불을 각기 수용신(受用身) · 변화신(變化身)으로 구별하고 있다. 또한 천태종(天台宗)에서는 비로자나불 · 노사나불 · 석가불을 법신(法身) · 보신(報身) · 응신(應身)에 비견하여 설명하고 있고, 밀교에서는 『대일경』의 설을 바탕으로 비로자나불을 대일여래(大日如來)와 동체로 여기고 있다.

『화엄경』에서 설하는 불교의 세계관은 이 우주의 맨 밑바닥에는 커다란 풍차(風輪)가 있고, 그 위로 널리 향수해(香水海)가 펼쳐지며, 그 바다에 그지없이 큰 연꽃이 피어난다고 한다. 그 연꽃 속에 무한한 세계가 있는데 우리가 살고 있는 사바세계도 바로 이 속에 들어있다고 설한다. 이를 두고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혹은 ‘연화장 장엄세계’라고 부르는 것이다.

또한 『범망경』에 의하면 이 우주는 천 개나 되는 많은 잎이 달려 있는 큰 연꽃으로 되어 있어서 그 한 잎마다 하나의 세계를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세계마다 해와 달이 하나씩 공전하고 있다고 한다. 그 거대한 연화대 위에 앉아서 광대무변의 우주를 다스리고 있는 광명의 부처가 바로 비로자나불이라고 한다.

이 부처님은 스스로 그 분신으로써 석가불의 모습을 천 개나 나타내어 각 잎마다, 즉 각 세계마다 상주케 하니, 석가불을 떠나서 비로자나불이 있을 수 없고, 비로자나불의 교법을 벗어나 석가불의 존재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인(手印)은 오른손이 아래, 왼손이 위로 올라간 지권인(智拳印)으로서 일반적인 비로자나불의 지권인과는 반대의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다. 법신(法身)인 비로자나불만 이 수인을 한다.

 

110171251025_2

110171251025_3

비로전은 대웅전 영역 뒤편 높은 대지 위에 남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비로전은 법신불(法身佛)인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모신 건물로『화엄경(華嚴經)』에 따른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의 중심 전각이다. 경덕왕 10년 불국사의 창건과 함께 창건되었으나 임진왜란으로 옛 건물은 소실되었고 조선 顯宗 1년(1660년)에 중창되었으나 그것도 조선시대 말기에 소실되어 터만 남게 되었다. 현존하는 비로전은 1973년 불국사의 대복원공사 때 새로이 조영된 것이다. 그러나 기단과 계단, 초석은 경덕왕 10년 창건 당시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불국사 비로전에는 협시불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그렇지만 비로전 왼쪽 아래에는 석가모니부처님을 모셔놓은 대웅전이 있다. 왼쪽 협시불이다 오른쪽 협시불은 비로전 오른쪽 아래에 있는 극락전의 아미타부처님이다. 이렇게 보면 불국사는 삼신불을 법당건물로서 절묘하게  배치한 것을 알 수가 있다. 불교에서 비로자나부처님이 차지하는 위상이 얼마나 큰지를 불국사 구조물은 묵시적으로 말하고 있다고 하겠다.

대적광전(大寂光殿)은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하는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한 법당이다. 불교교리가 점차 확대 발전됨에 따라 부처님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노력은 마침내 법신(法身, 비로자나불), 보신(報身, 노사나불), 화신(化身, 석가불)이라는 이른바 삼신불사상으로 정착된다. 바로 그와 같은 신앙을 기반으로 조성된 삼신불을 모신 법당이 곧 대적광전이다.

또한 이 불전은 대광명전 · 대광보전 · 보광명전 · 비로전 · 화엄전 등으로 다양하게 불리고 있다. 그 가운데 대광명전은 대광명을 발하는 화엄 연화장세계에서 유래된 말이며, 비로전은 비로자나불을 단독으로 봉안하는 전각에 주로 사용된다. 아울러 화엄전은 화엄세계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며, 대적광전은 연화장의 세계가 대정적(大淨寂)의 세계라는 뜻을 함축하는 것으로 삼신불을 모신 법당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110171251025_4
국보 제298호 갑사삼신불괘불탱(甲寺三身佛掛佛幀) / 조선시대

왼쪽부터 석가불,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던 대형 불교그림을 말한다.

 


<세계의 비로자나불>
110171251025_5
중국 용문석굴(龍門石窟)의 비로자나불

뤄양[洛陽] 남쪽 약 14 km 지점. 당나라의 고종(高宗)과 측천무후(則天武后)가 만들기 시작하여 675년에 준공되었다.

 

110171251025_6
일본 <대일여래> / 1176년, 운케이(運慶, Unkei)

이 가장 높은 부처가 앉아 있는 연꽃 아래를 보면 아래쪽을 향한 또 다른 연꽃이 있는데 이것은 위에서 내려다 본 돔의 꼭대기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즉, 연꽃은 하늘의 돔이고 그 아래 우리가 살고 있는 것이다.

 

– 중국 선종의 제6조인 혜능(慧能 638~713)

“우리의 순수한 정신은 타락한 정신 속에 있다.”

– 일본 고승 하쿠인(白隱백은, 1685~1768)

“바로 이 땅이 순수한 연꽃의 땅이며, 이 몸이 부처의 몸이다.”

– 『도마복음』

“하느님 아버지의 왕국이 이 땅에 널리 펼쳐져 있는데, 인간은 그것을 보지 못한다.”

– 『까타 우파니샤드』

“맑은 거울에 비추어보았을 때라야 아트만의 모습이 확연하게 보이듯이.”

 

110171251025_7
<대일여래> 13세기, 다이고지(醍醐寺), 일본 교토

‘위대한 태양불’인 마하바이로차나를 그린 일본의 작품으로, 일본에서는 우주의 심장과 빛의 화신이자 현현인 다이니치 뇨라이, 즉 ‘대일여래’라고 불린다. 바탕은 십자 모양을 이룬 천둥의 문양이고, 교차하는 부분에 연꽃이 있다. 대립물들이 일치하는 이 상징적 바탕 위에 세 개의 빛나는 원들이 떠 있다. 가장 커다란 흰 원은 무존재의 공(空)을 나타낸다. 두 번째 원은 존재의 무지개빛 경계를 나타낸다. 가장 작은 원은 ‘됨’의 순환하는 겁을 나타낸다. 그 마지막 원 앞에 지복의 궁극적 경지인 천 개의 꽃잎을 가진 순백색의 연꽃 위에 완벽하게 앉아 있는 자가 바로 우주의 심장과 빛의 첫 번째이자 가장 높은 화신인, 대일여래이다. 그의 배꼽부근에는 다르마 차크라, 즉 법륜(法輪)이 걸려 있는데 법륜에 의해서 만물의 운동이 유지된다. 그리고 보석으로 장식된 빛나는 왕관에는 세계의 중심과 사방을 수호하는 다섯 명의 붓다들이 있다.
110171251025_8

 

◎ 위키 백과 : Five Dhyani Buddhas

◎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 사방사불(四方四佛)

◎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사방불신앙(四方佛信仰)

사방불, 또는 <Five Dhyani Buddhas>은 모든 공간에 부처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AD 1세기경 대승불교가 발생하면서 한 시대에 한 명의 부처만 존재한다는 기존 개념이 동서남북 사방은 물론 6방, 8방에도 존재하고 과거는 물론 현재와 미래에도 부처가 존재한다는 개념으로 바뀌었다. 이렇게 시간과 공간을 망라하여 모든 세계에 존재하는 부처들을 시방삼세제불(十方三世諸佛)이라고 하며 특히 밀교 계통에서 발전하였다.

가운데(지구) 비로자나불(Vairocana, 대일여래), 아래(동쪽)에 아촉불(Aksobhya, 아추비야), 왼쪽(남쪽)에 보생불(Ratnasambhava, 라트나삼바바), 위(서쪽)에 아미타불(Amitabha, 아미타바) 그리고 오른쪽(북쪽)에 불공성취불(Amoghasiddhi, 아모가시디)이다.

지구를 중심으로 분점(춘분, 하지, 추분, 동지), 동서남북, 봄여름가을겨울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관련 신화>

비로자나불은 인도 신화의 인드라(Indra)와 관련있다. 인드라는 “King of the Gods”, “God of Weather and War”라고 불리는데, 불교에서 제석천(帝釈天)이라고 한다.

※ 위키 백과 : Indra

인드라와 비슷한 속성을 가진 제우스, 바알, 토르와도 관련이 있고, 이집트 신인 아몬-레와도 비슷한 속성이 있다. 문명의 전파를 고려해야 겠다. (제우스와 아몬 (아문, 암몬, 아멘))

110171251025_9
캄보디아 타 프롬(Ta Prohm) 사원에 있는 인드라. 오른손에 있는 번개가 제우스 것과 비슷하다. (http://yellow.kr/blog/?p=1612)

 

비로자나불은 힌두 신화의 브라흐마(Brahma)와도 관련있다. “The Creator of World”라고 하며, 불교에서 범천(梵天)이라고 한다.

브라흐마 또는 범천(梵天)은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창조의 신으로 비슈누, 시바와 함께 힌두교의 삼주신을 이룬다. 브라흐마는 힌두 철학에서 우주의 근본적 원리이자 최고 원리인 지고의 우주적 정신 또는 존재인 브라만이 인격화된 남신으로 브라만을 상징한다.(위키 백과 : 브라흐마)

110171251025_10
인도 할레비드(Halebid) 사원에 조각된 브라흐마

 

110171251025_11
왼쪽은 제석천(帝釈天), 오른쪽은 범천(梵天)

 

많은 신화, 종교 상에 삼위일체의 개념이 존재한다. 따로 정리할 예정

이집트 종교에는 오시리스, 이시스, 호루스

또 이집트 테베의 전승에 의하면 아문(Amun), 무트(Mut), 콘수(Khonsu)

이집트 태양신 라(Ra)의 다른 3가지 이름 : Kheper(케프리), Re-Horakhty(지평선의 호루스), Atum(아툼)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 아테나, 아폴론

기독교에서도 존재 – (성부, 성모, 성자)가 아니고 성부, 성자, 성령

흰두교에는 브라만, 비슈누, 시바

불교에서의 삼신불(三身佛) : 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불 (실제로는 다양한 조합의 형태가 존재함)

110171251025_12
오른쪽에서부터 이시스, 오시리스, 호루스이다. 이집트 신화의 삼위일체

 

110171251025_13
흰두교의 삼주신(三主神 · Hindu Triad) – 위키백과 : 트리무르티
왼쪽에서 브라만, 비슈누, 시바 신이다.

 

110171251025_14
9세기 인도네시아 중앙 자바주 마겔랑(Magelang)에 있는 믄두트(Mendut)라는 불교 사원에 있는 3개의 상

가운데 비로자나불(Vairocana), 왼쪽은 관음보살(Avalokitesvara), 오른쪽은 금강역사(Vajrapani)

 


<참고자료 및 관련자료>

문화재청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 비로자나불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 범망경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 범망보살계경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 연화대장세계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비로자나불

네이버 지식백과 : 법륜(法輪)

위키 백과 : 비로자나불

위키 백과 : Vairocana

불국사 : http://www.bulguksa.or.kr/

Korea Temple : 불국사 비로전

사찰에서 만나는 불교미술 (동국불교미술인회 / 대한불교진흥원)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 국보 제26호

익명 에 응답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