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

https://www.mapbox.com/ 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여 해수면 상승을 시뮬레이션하는 프로그램을 홈페이지에 붙였다.

 

※ URL : https://yellow.kr/sealevel.jsp

(옐로우의 세계 > 세계정보 > 지구와 세계 > 해수면 상승)

 

아래의 현재의 지도, 즉 해수면 0m를 보여주고

 

다음은 해수면이 30m 상승했을 때의 침수지역을 보여준다.

 

해수면의 조절은 지도 밑에 있는 입력상자에 보고싶은 해수면의 상승 높이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르면 된다.

 

주요 도시를 클릭하면 그 도시로 바로 이동한다.

 

그런데 지구 역사상 해수면이 가장 높았던 시기는 언제였고 지금보다 몇 미터가 더 높았을까? 지금이 과거의 해수면 변화에 있어 가장 높은 수준에 있다고 하는데…

※ 출처 : https://en.wikipedia.org/wiki/Past_sea_level

※ 과거 해수면의 변동 : https://yellow.kr/blog/?p=2968

 

“11만5000년 전 해수면은 지금보다 6 ~ 9m 높았다”라는 기사와 “남극 빙하가 모두 녹으면 해수면이 60m 상승”이라는 뉴스 기사는 확인했다.

 


<관련자료 및 참고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Past_sea_level

https://en.wikipedia.org/wiki/Future_sea_level

2016-10-04  “올 지구 기온, 11만년만에 최고…후손 부담 전가”

2014-01-02  남극 빙하 녹는 속도 2년 새 절반으로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

7 thoughts on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

  1. 옐로우님 안녕하세요!
    저는 고고학을 전공하는 연구자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옐로우님의 블로그에서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션을 보게 되어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제가 여쭤보고 싶은 것은
    시뮬레이션의 출처가 어디인지, 그리고 그 기준(해수면이 전 세계가 기준인 것인지, 아니면 특정 지역인지, 그리고 강수량과 기온변화는 제외하고 해수면 변동만 포함시킨 것인지 등)
    에 대해서입니다.

    감사합니다!

      1. 답변 감사드립니다 옐로우님!
        그런데 저 시뮬레이션이 한반도에서의 해수면 변동에 적합한 프로그램일까요?
        왜냐하면 IPCC 4차 평가보고서에는
        “전 세계 해수면이 평균 0.32m 상승할 경우 여의도 면적(4.5㎢)의 4배의 면적이 물에 잠기고,
        해수면이 0.59m 상승할 경우, 우리나라는 여의도 면적의 11배에 달하는 49㎢가 물에 잠기고, 침수 인구는 약 1만 4천명을 기록한다는 게 ‘해수면 상승 모의실험’의 결과다. 최악의 경우는 1세기 후 한반도 해수면이 평균 1미터 상승하는 것인데 이에 따르면 침수 인구는 무려 약 9만 명에 이르고 침수면적은 여의도 면적의 32배에 달한다. 지구온난화로 지구 평균기온이 2℃ 상승해 그린란드 빙하가 완전히 녹을 경우 해수면은 무려 7.00m 높아진다. 이때 침수면적은 여의도의 825배에 달한다.”
        라고 나와 있는데
        Mapbox에서는 수치를 매우 크게 높여야(2자리 수) 침수면적이 가시화되고, 위 보고서에서 얘기한 수치로는 별 다른 영향이 없어보입니다.
        옐로우님께서는 어떻게 보시는지 여쭤봐도 괜찮을까요?

    1. 제가 보기에는 빙하가 녹았을때 어디 까지 잠기는지
      알아본뒤 땅의 높이를 조사하여 시뮬레이션을 만든거깉네요

  2. 옐로우님 안녕하세요! 몇년동안 해수면 시뮬레이션 잘 보고 있었는데
    요새 미터를 아무리 바꿔봐도 수면이 표기가 안되는것 같습니다
    저만 오류인건지.. 컴퓨터나 핸드폰으로 해봐도 표기가 안되네요…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