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석가탑) – 국보 제21호

※ 황성열의 세계 – 문화재 : http://yellow.kr/nt.jsp

※ 국보 제21호 / 경주 불국사 다보탑 (慶州 佛國寺 多寶塔)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경북 경주시 불국사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불국사는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 김대성의 발원에 의해 창건된 사찰로, 과거·현재·미래의 부처가 사는 정토(淨土), 즉 이상향을 구현하고자 했던 신라인들의 정신세계가 잘 드러나 있는 곳이다. 『삼국유사』에는 김대성이 전생의 부모를 위해서 석굴암을, 현생의 부모를 위해서 불국사를 지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혜공왕 10년(774) 12월 그가 목숨을 다할 때까지 짓지 못하여, 그 후 나라에서 완성한 후 나라의 복을 비는 절로 삼게 되었다.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과 경주 불국사 다보탑(국보 제20호)은 절의 대웅전 앞 뜰 동서쪽에 각각 세워져 있는데, 서쪽탑이 삼층석탑이다. 탑의 원래 이름은 ‘석가여래상주설법탑(釋迦如來常住設法塔)’으로, ‘석가탑’이라고 줄여서 부른다. 두 탑을 같은 위치에 세운 이유는 ‘현재의 부처’인 석가여래가 설법하는 것을 ‘과거의 부처’인 다보불(多寶佛)이 옆에서 옳다고 증명한다는『법화경』의 내용에 따른 것이다.

탑은 불국사가 창건된 통일신라 경덕왕 10년(751)때 조성된 것으로 추측되며,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석탑으로, 경주 감은사지 동ㆍ서 삼층석탑(국보 제112호)과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제38호)의 양식을 이어받은 8세기 통일신라시대의 훌륭한 작품이다.

탑 전체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2층의 기단이 튼실하게 짜여 있으며, 목조건축을 본따서 위·아래층 기단의 모서리마다 돌을 깎아 기둥 모양을 만들어 놓았다. 탑신에도 그러한 기둥을 새겼으며, 지붕돌의 모서리들은 모두 치켜올려져 있어서 탑 전체에 경쾌하게 날아오르는 듯한 느낌을 더한다.

1966년 9월에는 안타깝게도 도굴꾼들에 의해 탑이 손상되는 일이 있었으며, 그해 12월 탑을 수리하면서 2층 탑신의 몸돌 앞면에서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던 사각형의 공간을 발견하게 되었다. 여기서 여러가지 사리용기들과 유물을 찾아냈는데, 그 중에서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국보 제126호)이다. 이것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판인쇄물로 닥나무 종이로 만들어졌다.

탑의 머리장식(상륜부)은 16세기 이전에 유실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1973년 남원 실상사 동ㆍ서 삼층석탑(보물 제37호)의 머리장식을 본따서 복원하였다. 탑 주위로 둘러놓은 주춧돌 모양의 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는데, 이를 부처님의 사리를 두는 깨끗한 곳이라는 뜻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이 탑은 ‘무영탑(無影塔:그림자가 비치지 않는 탑)’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여기에는 석가탑을 지은 백제의 석공(石工) 아사달을 찾아 신라의 서울 서라벌에 온 아사녀가 남편을 만나보지도 못한 채 연못에 몸을 던져야 했던 슬픈 전설이 서려 있다.

석가탑은 우리나라 석탑의 전형이다. 석탑은 7세기 백제의 익산 미륵사지탑에서 시작되었고 정림사탑, 감은사탑을 거쳐 불국사 석가탑에서 삼층석탑이라는 형식적 완성을 이룬다. 이후 모든 석탑은 석가탑을 충실히 따르거나 변주하면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리하여 중국의 전탑(塼塔), 일본의 목탑(木塔)과 달리 우리나라는 석탑(石塔)의 나라로 발전하였다.
 

110182129521_1
유홍준 : “석가탑의 아름다움은 한마디로 이상적 조화미를 추구하는 고전미이다.”
 

110182129521_2
석가탑의 본래 이름은 ‘석가여래 상주常住 설법탑’, 다보탑은 ‘다보여래 상주常住 증명탑’이다. 석가여래와 다보여래가 누구인가. 석가여래는 현세의 부처님이고, 다보여래는 과거불이다. 왜 이 두 분이 같이 서 있을까. 『법화경』에 그 연유가 나온다. 다음글에 어느정도 설명되어 있음.

※ 경주 불국사 다보탑 – 국보 제20호 : http://yellow.kr/blog/?p=87

 

110182129521_3
신라 불교 문화의 대개는 백제에서 건너간 것으로 보면 된다. 황룡사 9층탑을 지을 때에도 그랬고 석가탑을 만들 때에도 백제 계통의 장인들이 와서 지었다는 것이 그런 사실을 반증해 준다.
 

※ 석가탑을 무영탑(無影塔)이라고도 하는데 그 유래를 찾아보자. 여러가지 설이 있다.

◎ 석가여래(석가탑)가 설법을 하고 있으나 대중이 그 뜻을 알 수 없어서 가슴 속에 남아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는 무영(無影)의 상태이다. 다만 마주보고 있는 다보여래(다보탑)에 의하여 증명된다는 불교의 철학적 표현에 기인한 것이라는 설

◎ 부처의 32상호에 ‘부체유연세활 자마금색(膚體柔軟細滑 紫磨金色)’이라 하여, 부처는 피부가 부드러워 곱고 매끄러우며 자마금빛으로 빛난다. 또 80종호에 보면 ‘사변광각일장(四邊光各一丈) ‘이라 하여, 사방으로 광명이 각기 일장씩 뻗어 나간다고 한다. 따라서 석가모니의 몸에서 스스로 자금색 빛이 나서 일장씩 뻗어나가기 때문에 그림자가 생기지 않으므로 석가모니의 몸은 무영(無影)이며 그를 모신 탑이기에 무영탑(無影塔)이라고 부른다는 주장

◎ 불국사 석가탑이 하지(夏至)날 정오에는 그림자가 비치지 않아 무영탑(無影塔)이라고 한다는 설(說)이다. 다시 말하면 탑신의 그림자는 탑의 기단 그림자 속에 들어가 기단의 그림자만 보일 뿐 탑의 그림자는 보이지 않도록 고도의 천문학적 계산에 의해 조성이 되었다는 것이다.
 

아사달 아사녀의 무영탑 전설의 원형과 전승과정은 동국대 강석근 교수의 연구 논문을 참고 : http://www.kyongbuk.co.kr/main/news/news_content.php?id=532842&news_area=100&news_divide=&news_local=&effect=4
 

110182129521_4
노반 이상은 이미 소실되었던 것을 남원 실상사 석탑의 상륜을 모방하여 1974년에 새로 만들어 올린 것이다.
 

110182129521_5
110182129521_6

110182129521_7
석가탑 주위엔 네 모서리와 그 사이의 네 곳에 연꽃 대좌를 만들어 놓았다.

탑의 하층기단 아래로는 지면 위로 노출된 천연 암반이 있어 다른 석탑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구성을 하고 있다. 탑 주변의 연화석은 ‘팔방금강좌(八方金剛座)’로 불리는데, 그 역할이나 의미는 알 수 없으나 탑과 같은 성스러운 영역을 감싸는 시설, 즉 탑구(塔區)로 해석되기도 하고 연화대 위에 8보살을 안치하여 공양하는 모습을 나타내려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석가모니가 팔방금강좌 위에서 성불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즉 팔방금강좌와 함께 탑 아래 노출된 천연암반은 석가모니가 성불하는 순간과 함께 설법을 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110182129521_8
◎ 김효율 교수 : “석가탑 평면구조도 황금비율로 설계”

팔방금강좌는 탑의 하층기단과 함께 석가탑의 평면적 황금비율 구조를 보여준다. 팔방금강좌의 중심들이 위치한 좌심정방형의 규격을 황금비율 φ(약 1.618)로 나누면 하층기단 정방형(면석기준)의 규격과 같다. 8개 금강좌들의 직경은 이 두 정방형의 간격을 다시 황금비율 φ로 나눈 것과 같다. 금강좌들 사이에 있는 좌간대석의 폭은 금강좌의 반경을 다시 황금비율 φ로 나눈 것과 동일하다.
 

110182129521_9

110182129521_10
탑신은 모서리에 우주만 새겼을 뿐 아무런 장식조각도 베풀지 않아 매우 깔끔한 느낌을 준다. 옥개석은 아래에 5단의 층급받침을 두었으며, 처마는 윗면이 추녀 부분에서만 반곡되게 하였는데, 비교적 직선을 이루고 있다. 옥개석 윗면에는 쇠시리 두 단을 두어 상층 탑신의 받침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륜은 방형의 노반 위에 복발을 두고 보륜과 앙화, 보주로 구성되어 있는 모습이다.
 


<참고자료 및 관련자료>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불국사삼층석탑
네이버 지식백과(사찰 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 석가탑과 다보탑
유홍준의 국보순례 (유홍준 / 눌와)
역사스페셜3 (KBS 역사스페셜 / 효형출판)
불교 (최준식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http://blog.daum.net/kinhj4801/15961615
http://www.koreatemple.net/korea_temple/temple_treasure/treasure/view.asp?category_id=13&content_id=7383&temple_seq=1000
2012-09-28  1000년 만의 대수술 불국사 석가탑 2년 뒤 다시 만나요
2010-10-25  석가탑 ‘완벽한 아름다움’ 비결은 ‘황금비율’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석가탑) – 국보 제21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