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덕대왕신종 – 국보 제29호

※ 황성열의 세계 – 문화재 : http://yellow.kr/nt.jsp

※ 국보 제29호 /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鍾) / 1962년 12월 20일 지정
경주 국립경주박물관에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는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측정한 결과 18.9톤으로 확인되었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하여 넣었다는 전설로 아기의 울음소리를 본따 에밀레종이라고도 한다.

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머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종 몸체에는 상하에 넓은 띠를 둘러 그 안에 꽃무늬를 새겨 넣었고, 종의 어깨 밑으로는 4곳에 연꽃 모양으로 돌출된 9개의 유두를 사각형의 유곽이 둘러싸고 있다. 유곽 아래로 2쌍의 비천상이 있고, 그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가 연꽃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몸체 2곳에는 종에 대한 내력이 새겨져 있다. 특히 종 입구 부분이 마름모의 모서리처럼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있다.

통일신라 예술이 각 분야에 걸쳐 전성기를 이룰 때 만들어진 종으로 화려한 문양과 조각수법은 시대를 대표할 만하다. 또한, 몸통에 남아있는 1,000여자의 명문은 문장뿐 아니라 새긴 수법도 뛰어나, 1천 3백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손상되지 않고 전해오고 있다.

 

국립경주박물관은 고고관, 미술관, 안압지관등 3개의 상설전시관과 옥외전시관이 있는데 국보 제29호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은 옥외전시관에 있다.
긴 여운을 주는 신비하고 그윽한 종소리는 직접 들을 수 없게 되었다. 2004년 12월 국립경주박물관이 타종을 영구 중단했기 때문이다. 계속 종을 칠 경우 성덕대왕신종의 몸체가 약화되거나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종을 만들 때 정말로 아이를 집어넣었을까. 경주박물관이 실시한 종합학술조사 결과, 에밀레종에서는 인燐 성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즉 ‘주조 당시 어린아이를 넣었다’는 전설은 사실이 아님이 확인되었다. 그런데 2017년 경주 월성 발굴 현장에서 사람의 뼈 두 구가 나왔는데, 제물로 바쳐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에밀레종의 인신공양 설화에 대한 논란이 다시 살아날 것 같다. 성덕대왕 신종의 명문과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 기록을 근거로 뜨거운 용광로에 던져진 어린아이는 결국 중대 신라기 권력다툼에서 어린 나이에 희생된 혜공왕이며, 아이를 제물로 바친 어미는 당시의 만월부인과 김옹이 한패를 이룬 외적 세력을 비난하는 정치고발의 문학적 형상화라는 주장도 있다.

 

첨단의 현대 과학기술로도 성덕대왕신종 특유의 은은한 종소리는 재현해 내지 못하고 있다. 제야의 종을 치는 서울의 보신각종이 성덕대왕신종을 본떠서 현대에 다시 만든 것이지만, 그 종소리는 성덕대왕신종의 신비한 소리에 크게 미치지 못한다.

현대 과학기술은 성덕대왕신종의 물리적, 공학적 특성 등을 밝혀내는 것은 가능하지만, 성덕대왕신종을 그대로 복제하여 그 신비의 종소리를 재현하는 데에는 아직 역부족인 듯하다.

 

황룡사에는 성덕대왕신종의 네 배가 넘는, 무게 100톤에 가까운 큰 종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110052890654_1

110052890654_2
비천상

성덕대왕신종의 비천상은 공양비천상이다. 보상화寶相華가 구름같이 피어오르는 가운데 구름 위에 있는 연화좌에 무릎을 세우고 앉아, 천상의 바람에 옷자락과 영락을 휘날리면서 두 손 모아 공양하는 자태이다. 이 종에 공양비천상을 새긴 것은 성덕대왕의 명복을 비는 의미에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110052890654_3
성덕대왕신종 명문

이 종을 만들던 사람들이 훌륭한 종소리를 내기 위하여 얼마나 고심하였는가는 명문에 잘 나타나있다. 그 글은 이렇게 시작된다.

“무릇 심오한 진리는 가시적인 형상 이외의 것도 포함하나니 눈으로 보면서도 알지 못하며, 진리의 소리가 천지간에 진동하여도 그 메아리의 근본을 알지 못한다. 그런고로 (부처님께서는) 때와 사람에 따라 적절히 비유하여 진리를 알게 하듯이 신종(神鍾)을 달아 진리의 둥근소리(圓音)를 듣게 하셨다. 무릇 종소리란 … 그 메아리가 끊이지 않으니 장중해서 옮기기 힘들며, 함부로 다루지 못한다.”

종소리는 곧 진리의 원음이었던 것이다. 부처님의 말씀을 글로 옮겨 적으면 불경이 되고, 부처님의 모습을 형상으로 옮겨놓으면 불상이 되고, 부처님의 목소리를 옮겨놓은 것이 종소리였던 것이다.

또한 성덕대왕신종의 명문에는 “신종이 만들어지니 그 모습은 산처럼 우뚝하고 그 소리는 용의 읊조림 같아 위로는 지상의 끝까지 다하고, 밑으로는 땅속까지 스며들어 보는 자는 신기함을 느낄 것이요, 소리를 듣는 자는 복을 받으리라”고 씌어 있는데, 신종의 소리와 모습을 설명한 가장 적절한 표현일 듯 싶다.
명문 해설은 다음 게시물을 참조 : 성덕대왕신종 명문해설본
110052890654_4
성덕대왕신종 명문 탁본

110052890654_5

110052890654_6

범종의 형태와 명칭
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그리고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성덕대왕신종의 용뉴에서는 용이 한 마리만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두 마리로 늘어난다.

용이 원통을 짊어진 형상은 다른 시대의 종에는 보이지 않는 형태인데 상원사종에도 비슷한 모양의 원통이 새겨져 있다. 이것은 용이 된 문무왕과 만파식적을 상징한 것으로 삼국 통일의 위업을 후대까지 부각시킨 흔적이라 할 수 있다.

세계적인 명종으로 꼽히고 있는 국보29호 성덕대왕신종(일명 에밀레종) 등 신라의 종머리에 붙어있는 수수께끼의 둥근 통이 신라의 만파식적 설화에 나오는 신비로운 대기 만파식적(피리)이라는 해석이 나와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오랫동안 우리나라 범종을 연구해온 동국대 총장 황수영 박사는 26일, ‘신라종의 머리에 있는 용과 원통은 신라 문무대왕 해중릉의 완공과 때를 같이해 동해에 나타난 호국용과, 이 용이 신문왕에게 전했다는 신라의 국보 만파식적으로 보아야 한다.’고 밝히고, ‘적병을 물리치고 재해를 다스리는 신통력을 지닌 신기(神器)를 신종 맨 정상에 붙여놓은 것은 통일된 나라를 만세에까지 지켜보자는 호국의지를 온 국민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에밀레종 머리를 보면 둥근 통을 등에 지고 막 바다에서 헤쳐나가는 모습이 장식돼있다. 지금까지 신라종에만 있는 이 원통을 학계에서는 소리와 관계있는 음관으로 보는 견해가 대부분이었고, 일본에서는 기꽂이로 추정해왔는데 황 박사의 주장은 이를 완전히 뒤엎는 것으로 우리나라 종 연구의 한 전환점을 그을 것으로 보인다.  … 신라종은 정상의 용뉴(龍紐)와 원통, 종복(鐘腹)의 주악천인상(奏樂天人像)의 배치가 중국 및 일본종과 다르다. 신라종은 용뉴를 앞뒤에 발이 달리고 머리가 하나인 용을 고리로 하고, 그 위에 원통을 세워놓았다. 이에 비해 중국과 일본종은 쌍두용뉴로 삼았을 뿐 원통은 없다. 이 때문에 학자들은 신라종의 원통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 <출처 : 1982-03-27 한국일보>

아래는 성덕대왕신종(771)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신라시대 범종으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국보 제36호 상원사동종(725)이다. 같이 기억해야…
110052890654_7

범종 (梵鍾)
종鍾은 시간을 알리거나 사람들을 모을 때, 그리고 의식을 거행할 때 쓰였습니다. 특별히 절에 있는 종은 불교를 의미하는 ‘범梵’자를 붙여 범종이라고 부릅니다. 이 범종 소리는 부처님의 말씀에 비유되기도 하며, 이 소리를 듣게 되면 지옥에 떨어져 고통 받던 중생까지도 구제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보통 한자로 종하면, ‘쇠 금金’변에 ‘아이 동童’자가 붙은 ‘鐘종’자를 씁니다. 중국이나 일본 종을 일컬을 때는 이렇게 씁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종을 지칭할 때는 ‘쇠 금金’변에 ‘무거울 중重’자가 붙은 ‘鍾종’자를 씁니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으나, 종에 새겨진 글씨나 기록에 ‘鍾종’자가 쓰였기 때문입니다.
중국, 일본 종과 우리나라 종은 쓰는 한자가 다를 뿐만 아니라 그 모습에서도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 우선 종을 매다는 종뉴(용 모양을 하고 있다하여 용뉴라고도 함)는 중국식의 머리가 둘 달린 용이 아니라, 머리와 다리를 힘차게 뻗치고 있는 한 마리의 용입니다. 이 종뉴 옆에는 중국이나 일본 종에는 없는 음통音筒(용통勇筒, 음관音管이라고도 부름)이 있습니다. 또한 중국 종이나 일본 종과 달리 종의 위아래에는 보상화무늬나 모란당 초무늬를 새긴 띠[문양대文樣帶]와 4개의 유곽乳廓(연곽蓮廓이라고도 함)이 있으며, 유곽 내에는 각각 9개씩, 총 36개의 유두乳頭(연꽃봉오리 형태와 같아 연뢰蓮뢰라고도 부름)가 있습니다. 그리고 비천상飛天像과 종을 치는 부분에 당좌撞座가 새겨져 있습니다. <출처:국립경주박물관>범종 꼭대기에 올라앉은 용(龍)
우리 전통 범종의 꼭대기를 보면 용(龍)머리 모양의 고리가 달려 있다. 용뉴라 하는 이 고리를 만들어 붙인 것은 당연히 종각(鐘閣)에 종을 걸기 위해서다.
그런데 종의 고리가 하필이면 왜 용 모양일까. 종과 용은 대체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
중국 명대의 호승지(胡承之)가 쓴 『진주선(眞珠船)』에 따르면 초능력과 권위를 지닌 용에게는 아홉 아들이 있었다. 비희, 이문, 포뢰(蒲牢), 폐안, 도철, 공하, 애자, 산예, 초도 등. 이들은 각기 성격과 특성이 달랐다.
그 아들 중 하나인 포뢰는 울기를 잘해 소리가 우렁찼다고 한다. 이 포뢰야말로 소리를 내야 하는 종에 안성맞춤이었다. 범종 꼭대기에 용이 올라앉게 된 것은 이런 까닭에서다.
바닷가에 살던 이 포뢰는 또 고래를 무척이나 무서워했다. 고래가 다가오기만 하면 놀라서 큰 소리를 질렀을 정도였다고 한다.
종을 치는 막대기(당목,撞木)도 원래는 고래 모양으로 만든 나무였거나 고래뼈로 만든 것이었다. 이는 고래로 종을 두드려야만 종 꼭대기에 앉아 있는 용이 무서워서 더 크게 소리칠 것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출처:보는 즐거움 아는 즐거움-이광표/효형출판>

 

현존하는 우리나라 범종 가운데 형식미나 예술미에서 손꼽을 수 있는 것은 신라시대의 오대산 상원사 범종과 국립경주박물관 소장의 성덕대왕신종, 그리고 고려시대의 화성 용주사 범종과 조선 전기의 양주 봉선사 대종과 양양 낙산사 범종, 합천 해인사 홍치4년명 범종, 또 조선 후기의 김천 직지사 순치15년명 범종과 양산 통도사의 강희25년명 범종, 부산 범어사 옹정6년명 범종 등이다.

※ 상원사 동종 – 국보 제36호 : http://yellow.kr/blog/?p=201

 


<참고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성덕대왕신종

위키백과 : 성덕대왕 신종

문화재청 : 문화유산정보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범종

손 안의 박물관 (이광표 / 효형출판)

경주 (한국문화유산답사회 / 돌베개)

사찰 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 (허균 / 돌베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 창작과비평사)

역사스페셜 (KBS 역사스페셜 / 효형출판)

“역사는 이야기다”…설화는 사실이 아니어도 가치가 있다

‘에밀레종 설화’ 왕실 권력투쟁 통해 조명

http://blog.naver.com/with_msip/221014637782

성덕대왕신종 – 국보 제29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