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원사 동종 – 국보 제36호

※ 황성열의 세계 – 문화재 : http://yellow.kr/nt.jsp

※ 국보 제36호 / 상원사 동종 (上院寺 銅鍾)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동종으로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졌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며, 크기는 높이 167cm, 입지름 91cm이다.

이 종의 맨 위에는 큰 머리에 굳센 발톱의 용이 고리를 이루고 있고,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연꽃과 덩굴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종 몸체의 아래 위에 있는 넓은 띠와 사각형의 유곽은 구슬 장식으로 테두리를 하고 그 안쪽에 덩굴을 새긴 다음 드문드문 1∼4구의 악기를 연주하는 주악상(奏樂像)을 두었다. 네 곳의 유곽 안에는 연꽃 모양의 유두를 9개씩 두었다. 그 밑으로 마주보는 2곳에 구름 위에서 무릎꿇고 하늘을 날며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상(飛天像)을 새겼다. 비천상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撞座)를 구슬과 연꽃 무늬로 장식하였다.

이 종은 조각 수법이 뛰어나며 종 몸체의 아래와 위의 끝부분이 안으로 좁혀지는 고풍스런 모습을 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것으로 한국 종의 고유한 특색을 모두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의 현존하는 동종 가운데 가장 오래되고 아름다운 범종(梵鐘)으로서, 음향이 맑고 깨끗하다.

상원사는 세조와 관련이 많은데, 이 종이 상원사에 오게 된 것도 세조와 관련이 있단다. 세조가 상원사에 바치려고 전국을 수소문하여 가장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 종을 선정했다. 그런데 그것이 바로 안동 누문(安東 樓門)에 있던 종이었다. 이것을 1469년 현재의 상원사로 옮겼는데 신기한 일은 안동 누문에 걸려 있던 종이 꼼짝하지 않아 종유 하나를 떼어내니 비로소 움직였다고 한다. 전설을 입증하듯 지금도 유곽 안에 종유 하나가 없다.

현재 상원사 동종 소리를 들을 수는 없다. 종의 보호를 위해 더는 종을 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 고운 소리를 묘사한 작품의 내용을 소개한다.

『최순우 전집』 2권, ‘상원사 동종’ 중에서:
“어느 해 겨울 눈이 강산처럼 쌓인 달 밝은 하룻 밤을 오대산 상원사에서 지낸 일이 있었다. 새 소리 물 소리도 그치고 바람도 일지 않는 한밤 내내 나는 산 소리도 바람 소리도 아닌 고요의 소리에 귓전을 씻으면서 새벽 종소리를 기다렸다. 웅장한 소리 같으면서도 맑고 고운 첫 울림이 오대산 깊은 골짜기와 숲속의 적막을 깨뜨리자 길고 긴 여운이 뒤를 이었다. 어찌 생각하면 슬픈 것 같기도 하고 어찌 생각하면 간절한 마음 같기도 한 너무나 고운 소리였다”
 

110176567492_1
상원사동종은 종의 모양이 포탄의 머리 부분을 잘라낸 것처럼 위로 올라가면서 좁아지는 원추형이며, 또한 우리 나라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장독을 엎어놓은 것 같은 형태이기도 하다. 종신의 밑부분 약 3분의 2쯤 되는 곳이 가장 넓고 그 밑은 조금 좁아져서 매우 안정된 느낌을 주는 외형을 갖추고 있다.

110176567492_2
음관·유곽 등 한국 종의 전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우수한 종이다. 용뉴 좌우에 종명(鐘銘)이 음각되어 있어 주성(鑄成) 연대가 725년(신라 성덕왕 24)임을 알 수 있다. 이 종이 주성된 후 어느 절에 소속되어 있었는지 알 수 없으나, 영가지(永嘉誌)에 의하면 경상북도 안동누문(安東樓門)에 걸려 있던 것을 1469년(조선 예종 1)에 왕명에 의하여 현재의 상원사로 옮겨온 것으로 되어 있다.

110176567492_3
허공에 뜬 비천상은 각기 무릎을 세우고 수공후와 생황을 연주하고 있다. 천의의 끝 부분은 인동 모양으로 장식되어 있다. 휘날리는 천의 자락이 매우 아름답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수공후는 우리나라 고유의 악기가 아니라 서역 계통의 악기이다. 외래 악기가 등장하는 것은 비천상의 형식이 중앙아시아-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전래되었음을 말해주는 증거이다.
 

110176567492_4
종신의 상부에는 용종의 ‘무’에 해당하는 천정판(天頂板), 즉 종정(鐘頂)을 두 발로 딛고 머리를 숙여서 종 전체를 물어 올리는 듯한 용뉴를 만들어 놓았으며, 구부린 용의 몸뚱이에 철색을 끼워서 종뉴(鐘鈕)에 매달아 놓았다.
또한, 용뉴 옆 용종의 용에 해당하는 부분에 용통을 배치하였는데, 용종에서의 용은 내부를 뚫지 않아 손잡이밖에 되지 않았으나, 신라종의 용통은 내부를 뚫어 종신의 내면과 천판(天板)을 통하여 서로 맞뚫리게 한 독특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나 일본의 종에는 천판에 용통이 없고 용뉴도 한 마리의 용이 아니라 일체쌍두룡(一體雙頭龍)을 구부려서 배치하고 있으며, 종신에는 비천상을 배치하지 않고 종신 전부에 상하로 가득히 문양대를 장식하여 압박감을 주는 것이 한국종과 구별되는 다른 점이다.
 

110176567492_5
범종의 형태와 명칭

오늘날 남아 있는 신라시대의 범종은 국내·외를 합쳐 10구를 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 남아 있는 신라시대의 범종은 상원사동종(725, 강원도 평창군 상원사)·성덕대왕신종(771년, 국립경주박물관)·청주 운천동출토동종(9세기 후반, 국립공주박물관)·선림원동종(禪林院銅鐘, 804, 1951년 소실)·실상사동종(實相寺銅鐘, 9세기 중반, 동국대학교 박물관) 등 5구인데, 선림원동종과 실상사동종은 파손되어 완형(完形)이 아니므로 완전한 형태를 갖춘 것은 3구에 불과한 실정이다.
한편, 일본에 건너간 신라시대의 범종은 6구가 알려져 있었으나 현재는 4구만이 일본 국내에 남아 있다. 그러므로 현재 남아 있는 완형의 신라 범종은 국내외를 합하여 모두 7구이다.
 

※ 성덕대왕신종 – 국보 제29호 : http://yellow.kr/blog/?p=177


<참고자료 및 관련자료>

문화재청 : 상원사 동종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 상원사 동종
네이버 지식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범종
2013-03-15  왕을 살린 문수보살, 고양이와 동종의 관계는?
2007-10-19  동자상에서 거만한 권력을 보다

상원사 동종 – 국보 제36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