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 명승 제70호

※ 황성열의 세계 – 문화재 : http://yellow.kr/nt.jsp

※ 명승 제70호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春川 淸平寺 高麗禪園) / 2010년 2월 5일 지정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청평사는 불교의 선(禪)을 닦는 도량(道場)으로 고려선종 6년 이자현이 문수원을 중건하면서 선원을 확대한 곳이며, 지형지세를 이용해 자연과 인공을 조화롭게 조성하였으며, 보물(제164호 회전문), 강원도 기념물(제5호 청평사지), 문화재자료(제8호 청평사 3층석탑) 등 유구 및 유적 등이 있는 역사문화유적지다.

산수가 빼어난 경승지로 유명한 청평사 일대는 아늑한 분지형을 이룬 입지환경 속에 계곡, 영지(影池), 소(沼), 반석(너럭바위), 기암괴석, 폭포 등이 어우러진 절경(絶景)이며 선경(仙境)으로서 천혜의 산수풍경을 간직하고 있는 명승지이다.

 

소양강댐을 구경한 후 청평사를 방문했다.(2007년 4월)

청평사는 예로부터 거사(居士)불교가 유달리 빛을 발했던 곳이기도 하다. 멀리는 진락공 이자현이나 매월당 김시습 등이 머물렀으며, 지금도 승려신분이 아닌 구도자들이 많이 찾는 곳이라고 한다. 그러나 6·25 전쟁 당시 보물 제164호인 회전문만 남기고 모두 불타버린 수난사도 가지고 있다.
윤대녕의 <소는 여관으로 돌아온다, 가끔>이란 소설의 배경이 되기도 했고 오래 전부터 청춘남녀의 데이트 코스로 유명하다.
지금은 오봉산 배후령을 거쳐 들어오는 육로도 뚫렸지만,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소양댐을 거쳐 배를 타고 들어오는 예전의 코스를 택하고 있다.

 

청평사는 고려 광종 24년(973) 승현선사가 세워 백암선원이라 불렀다고 한다. 그 뒤 몇 번에 걸쳐 고치고 절을 넓혔는데 청평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명종 5년(1550) 보우선사가 이곳에 와 다시 고쳐 세운 뒤부터이다.

청평사의 회전문은 절에 들어설 때 만나게 되는 두번째 문인 사천왕문을 대신하는 것으로, 중생들에게 윤회전생을 깨우치려는 의미의 문이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1칸이며, 앞면의 가운데 1칸은 넓게 드나드는 통로이고 양쪽 2칸은 마루가 깔려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또한 지붕 처마를 받치는 부재들도 간결한 형태로 짜여 있는데, 이는 주심포양식에서 익공계 양식으로 변화하는 모습이다. 건물 안쪽은 벽이 둘러진 공간에 사천왕상 등의 입상을 놓을 수 있게 했으며, 윗부분에는 화살모양의 나무를 나란히 세워 만든 홍살을 설치하였다.

16세기 중엽 건축 양식 변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는 건축물이다. 이 절의 서쪽 언덕에는 한국전쟁 때 불타버린 극락전이 있었는데 고려시대 건축의 수법을 보여주던 중요한 건물이었다.

출처 : 문화재정보센터

 

110075317279_1
소양강댐 선착장에서 출발을 기다리며…
 

110075317279_2
출발! 15분 쯤 걸린다나.
 

110075317279_3
배에서 내려 좀 걸어야 한다. 20~30분쯤 걸었나? (청평사 선착장에서 사찰까지는 약 4km)
 

110075317279_4
청평사 입구 부용교에서 애들이 힘들어 하길래 입에 하나씩 물림
 

110075317279_5
청평사 공주와 상사뱀 전설 – 그런데 왜 당나라 공주였을까?
 

청평사 「공주와 상사뱀」의 전설

– 아주 오랜 옛날부터 이곳 청평사에는 “상사뱀과 공주”의 슬프고도 아름다운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당나라에 공주를 사모하던 한 평민청년이 있었다. 신분상의 차이로 끝내 사랑을 이루지 못한 청년이 상사병으로 죽자 홀연히 한 마리 뱀이 나타나 공주의 몸을 감아버린다. 공주를 사랑했던 청년의 혼이 상사뱀으로 변한 것이었다. 놀란 당태종은 의원들을 불러 갖가지 처방을 해보았지만 상사뱀은 꼼짝도 하지 않았고 공주는 점점 야위어만 갔다.

신라의 영험있는 사찰을 순례하며 기도를 드려보라는 권유에 공주는 우리나라 사찰을 순례하다 이곳 청평사까지 오게 되었다. 해가 저물어 계곡의 작은 동굴에서 노숙을 한 다음날 범종소리가 들려오자

“절이 멀지 않은 듯합니다. 밥을 얻어 오려고 하니 제 몸에서 내려와 주실 수 있는지요, 너무 피로하고 걷기가 힘겨워 드리는 말씀이니 잠시만 기다리시면 곧 다녀오겠습니다.” 하니 한번도 말을 들어주지 않던 상사뱀이 웬일인지 순순히 몸에서 내려와주었다. 공주는 계곡에서 목욕재계를 하고 법당으로 들어가 기도를 하였다. 한편 상사뱀은 공주가 늦어지자 혹시 도망간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에 공주를 찾아 나선다. 절에 도착하여 절문(회전문)을 들어서는 순간 맑은 하늘에서 뇌성벽력과 함께 폭우가 쏟아지며 벼락이 상사뱀에게 내리쳐 죽은 뱀은 빗물에 떠내려 갔다. 공주가 밥을 얻어 가지고 와 보니 상사뱀이 죽어 폭포에 둥둥 떠 있는 것이 아닌가,  원인을 알 수 없는 공주는 깜짝 놀랐다. 시원하기도 했지만 자신을 사모하다 죽은 상사뱀이 불쌍하여 정성껏 묻어주고 청평사에서 머무르다 구성폭포 위에 석탑을 세우고 귀국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때부터 상사뱀이 돌아나간 문을 회전문, 공주가 노숙했던 작은 동굴을 공주굴, 그가 목욕한 웅덩이를 공주탕, 삼층석탑이 공주탑이라는 애칭으로 불려지고 있다.

 

110075317279_6

110075317279_7
구성폭포 – 듣는 위치에 따라 9가지 소리가 난다나.
 

110075317279_8
장수샘. 나도 마셨는데 효험을 볼런지…
 

110075317279_9
보물 164호 청평사 회전문
 

110075317279_10
청평사 극락보전 – 십우도(十牛圖)

“십우도는 선을 닦아 마음을 수련하는 과정을 뜻하는 그림이에요. 불교에서는 사람의 진면목을 소에 비유해요. 십우는 심우(尋牛), 즉 소를 찾아 나선다로 시작해요. 다음엔 견적(見迹), 즉 소의 자취를 보았다는 뜻이에요. 견우(見牛), 소를 보았다는 뜻이구요. 득우(得牛), 소를 얻구요. 그 다음은 목우(牧牛), 소를 길러요. 기우귀가(騎牛歸家),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와요,……이 그림은 팔상성도라고 해서 조계사 대웅전 벽화에도 있어요. 피리를 불며 흰 소를 타고 산에서 내려오는 그림이죠. 그리고 다음 것은 망우존인(忘牛存人), 소를 잊고 자기만 존재해요. 인우구망(人牛俱忘), 자기와 소를 다 잊어요. 반본환원(返本還原), 본디 자리로 돌아가요. 입전수수(入廛垂手), 마침내 궁극의 광명 자리에 드는 거예요. 결국 십우도는 마음을 찾고 얻는 순서와 얻은 뒤에 회향할 것을 말하고 있지요.”(윤대녕, <소는 여관으로 돌아온다, 가끔> )

 

110075317279_11
두 그루의 나무 사이로 오봉산이 보인다. 다섯 개의 봉우리가 솟아 있어서 오봉산이라 하는데, 최고봉의 높이는 779m로 그다지 높지 않다.

 


<참고자료 및 관련자료>

문화재청
네이버 지식백과(문화재청 헤리티지채널) :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 명승 제70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