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파이스토스와 프타

그리스인들은 헤파이스토스(Hephaestus)를 이집트 신인 프타(Ptah)와 같다고 보았다.

 

※ 그리스 신화와 이집트 신화 – 신들의 비교 : http://yellow.kr/blog/?p=1262

 

두산백과에서 ‘프타’를 찾아보면,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9677&cid=40942&categoryId=31541)

하(下)이집트의 수도 멤피스를 지배한 최고(最古)의 신으로 일컬어지며, 미라가 된 남자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프타라는 이름은 ‘건립자(建立者)’를 뜻하며, 지혜의 신인 토트의 명령에 따라 프넴·마트(Ma‛at)와 함께 천지창조를 마치고 정의를 확립하였다고 전해진다.

 

파괴와 재생의 여신인 아내 세크메트(Sekhmet), 농작물의 신이자 의술의 신인 아들 네페르툼( Nefertum)과 더불어 멤피스의 3신이며, 이집트의 신들 가운데 아몬(Amon) · 라(Ra)에 이어 제3위의 신으로 숭배되었다. 장인(匠人)과 예술가의 보호신, 모든 기술의 위대한 발명가로 불리며, 신 · 인간 · 가축 등 모든 생물체는 프타의 심장과 혀에서 나왔다고 전해진다.

 

멤피스 곳곳에 신전이 세워져 해마다 화려한 제의(祭儀)가 치러졌는데, 미라로 만들어진 프타는 머리에는 꼭 달라붙는 모자를 쓰고, 턱에는 긴 가짜 수염을 달았으며, 몸은 모시 옷으로 감겨 있다. 왼손에는 생명 · 힘 · 영속 · 전지전능을 상징하는 왕의 지팡이를 들고 있다. 우주의 창조신, 가축의 신으로도 불린다. 그리스신화의 불과 대장장이의 신인 헤파이스토스(Hēphaistos), 로마신화의 불카누스(vulcanus)와 동일시된다.

 

– 프타(Ptah)

 

 

고대 이집트의 신, 프타(Ptah)는 우주를 형성하는 힘이자 물질의 형태를 주는 신이다. 불의 신이며 창조된 세계의 원인과 결과였다. 이런 속성으로 프타는 장인(匠人), 금속 가공, 목수, 조선업자 및 조각가의 수호신이 되었다. 프타의 대제사장은 ‘장인의 최고 관리자’라고 불렸다. 그리스인들은 프타를 신성한 대장장이인 헤파이스토스(Hephaestus)와 동일시했다.

 

프타는 고대 이집트 도시 멤피스의 수호신으로 세크메트 여신, 네페르템 신과 함께 삼주신(三柱神)을 구성했다. 오시리스, 이시스, 호루스의 삼주신과 비교된다.

 

‘우주의 창조자’인 프타의 창조 신화는 심장(마음, 생각)을 통한 창조적 인식(설계, 신성문자)과 혀로 대표되는 조음기관을 통한 창조적 발화(말씀)가 핵심을 이룬다.

 

프타는 일반적으로 녹색 피부를 가진 남자 미라의 모습으로 표현되며, 머리에는 꼭 달라붙는 모자를 쓰고, 신성한 수염을 쓰고, 고대 이집트 종교의 세 가지 강력한 상징(ankh-djed-was)인 생명, 영속, 힘을 상징하는 왕의 지팡이를 들고 있다.

 

코핀 텍스트(棺構文) <Coffin Texts, Spell 1130>에 기록된 “I am the Lord of Fire who lives on truth.” 처럼, 프타는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자신의 역할과 당시 사회에서의 중요성을 설명하는 많은 별명을 가지고 있다.

– 아름다운 얼굴 (Ptah the beautiful face)

– 진리의 주 (Ptah lord of truth)

– 정의의 사도 (Ptah master of justice)

– 기도를 듣는 이 (Ptah who listens to prayers)

– 의례의 주인 (Ptah master of ceremonies)

– 영원한 존재의 주 (Ptah lord of eternity)

 

장례의 신으로서, Ptah는 종종 Seker(또는 Soker) 및 Osiris와 융합되어 Ptah-Seker-Osiris를 형성했다.

 

신성한 황소 아피스(Apis)는 프타의 화신으로 여겨졌다. 아피스는 프타 신전 내의 마굿간 ‘아피스의 집’에서 길러졌으며, 화려한 치장을 하고 굉장히 성대한 대접을 받으며 살았다.

 

현재 기자와 사카라의 피라미드 유적지와 가까운, 카이로 남쪽으로 20km 정도 떨어진 나일강 서쪽에 위치하고 있는 멤피스의 원 이집트 이름 중 하나는 Hkpt(헤크페트)인데, 그 도시의 종교적 이름 Hut-ka-Ptah(헤트 카 프타. 프타의 영혼, 카의 집)에서 나온 것이다. 전역에 확장되어 사용된 헤크페트라는 이름으로부터 그리스어 ‘Aigyptos(아이깁토스)’와 오늘날 ‘Egypt(이집트)’가 파생된 것이다.

 

마네토에 의하면 메네스는 8명의 파라오가 재임한 이집트 제1왕조를 창시하였고, 62년간 파라오로 재임했다. 메네스는 나일강에 거대한 제방을 쌓아 만든 매립지인 멤피스를 건설하였는데, 멤피스는 이집트 초기왕조(1~2왕조)부터 이집트 고왕국까지(3~6왕조)의 수도였다.

※ 이집트를 통일한 메네스(나르메르 ?) : http://yellow.kr/blog/?p=1394

 

헤로도토스에 의하면 메네스는 멤피스에 광대한 프타(Ptah) 신전을 건립했다고 한다.

※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중요한 3개의 대신전은 멤피스의 프타(Ptah) 대신전, 헬리오폴리스의 라(Ra) 대신전, 테베의 아문(Amun) 대신전

 

고대 이집트에는 헤르모폴리스의 창세신화, 헬리오폴리스의 창세신화 등 여러 창세신화가 존재한다. 멤피스의 창세신화는 일반적으로 『멤피스 신학』이라고 불리는, 기원전 2000~1000년 혹은 3000~2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원문에서 비롯한다. 멤피스의 창세신화는 프타를, 아툼을 정점으로 한 헬리오폴리스의 아홉 명의 주신 위에 둠으로써 헬리오폴리스의 신들에 대한 프타의 상대적 우위를 확보하고자 했다.

※ 헬리오폴리스 9 주신 : 아툼(Atum), 슈(Shu), 테프누트(Tefnut), 게브(Geb), 누트(Nut), 오시리스(Osiris), 이시스(Isis), 세트(Set), 네프티스(Nephthys)

 

『멤피스 신학』이 묘사하는 우주창조설에 따르면, 멤피스의 지역신인 프타와 그에게서 나온 아툼은 최초의 존재들이었다. 프타는 그의 정신이 위치한 심장에서 세계를 창조했으며, 그의 혀를 통해, 즉 말이라는 행위를 통해 세계를 실현했다. 이는 플라톤적이고 그리스도교적인 로고스, 즉 ‘말씀’과 대단히 유사하게 보인다.

※ 플라톤의 데미우르고스 : 그리스어로 ‘제작자'(製作者)라는 의미. 플라톤은 자신의 『티마이오스』 편에서 세계를 만드는 거인에게 이 이름을 부여했다.

 

마네토의 《이집트지》에 의하면, 이집트 역사의 최초 일곱 신의 통치가 13,900년 동안 있었는데 그 일곱 신의 이름은 다음과 같다.

헤파이스토스(Hephaestus, 프타), 헬리오스(Helios, 라), 소시스(Sosis, 슈), 크로노스(Cronus, 게브), 오시리스(Osiris), 티폰(Typhon, 세트), 오루스(Orus, 호루스)

 

대제사장이자 학자, 건축가, 의사였던 역사적 인물인 임호테프(Imhotep)는 사후 신격화되어 프타의 아들로 추대되었다.

 

 

– 헤파이스토스(Hephaestus)

 

프타와 동일시되는 그리스신화의 올림포스 12신 중 하나인 헤파이스토스(Hephaestus)는 불, 대장장이, 장인, 금속공예, 야금술, 석조 및 조각의 신이었다. 그는 망치와 집게(대장장이의 도구)를 들고 수염이 난 남자로, 때때로 당나귀를 타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헤파이스토스가 왜 절뚝거리는가에 대한 신학적 논란이 있다. 절뚝거리는 젊고 추한 헤파이스토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위엄있고 평범한 사람으로의 변화도 보인다. 하나의 제안은 초기 헤파이스토스의 이미지는 이집트 신 프타에 근거를 두었는데, 프타가 때때로 난장이 또는 어린이로 묘사되었던 ‘Ptah-Pataikos’에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있다. 어린이 모습이라는 주장은 이집트의 몸과 정신의 탄생의 신이자 입문식의 신인 베스(Bes)나 ‘어린 호루스’, 하포크라테스(Harpocrates)와 비슷한 모습으로 뒷받침된다.

 

헤파이스토스는 나중에 이탈리아의 화산 신 Adranus-Volcanus와 동일시되어 화산의 신으로도 여겨지게 되었다. 원래 그리스인들은 헤파이스토스가 아니라 가이아의 아들들인 거인족과 화산 활동을 연관시켰었다. 그의 작업장은 여러 곳에 있다고 전해지는데, 로마에서는 불카누스와 동일시하여 시칠리아 섬의 에트나 화산이 그의 대장간이라고 하였다.

 

에게 해 북부의 섬 렘노스(Lemnos)가 헤파이스토스 신 숭배의 발상지라고 한다.

 

다음과 같이 자료를 찾았다.

 


헤로도토스 역사

– 헤로도토스 / 박현태 역 / 동서문화사 / 2008.07.01

 

디오니소스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신의 이름은 이집트에서 그리스로 들어갔다. 그리스의 신들이 그리스 이외의 나라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것은, 내가 직접 조사해서 확인한 것이다. 그것도 대부분은 이집트로부터 전래되었다고 나는 생각한다. 예외로서는 앞에서도 말한 포세이돈과 디오스크로이 외에 헤라 · 헤스티아 · 테미스 · 카리테스 · 네레이데스 등을 들 수 있는데, 그 이외의 신들의 이름은 줄곧 이집트에 있었다. 이상 나는 이집트인 자신이 한 말을 그대로 기술하고 있는 것이다. 이집트인이 이름을 모른다고 말하고 있는 신들은, 포세이돈을 제외하고는 펠라스고이인이 명명한 것일 것이다.

……

초대 왕인 민 왕은 나일 하류를 막아 여기에 간척지를 조성하자 먼저 도시를 세웠는데, 바로 오늘날의 멤피스이다(사실 멤피스는 아직 델타에는 이르지 않고 있는 이집트의 협소한 부분에 있다). 도시 외곽의 북쪽과 서쪽(동쪽은 나일 그 자체가 경계를 이루고 있다)으로 나일로부터 물을 끌어 호수를 만들고, 또 이 도시에 화제가 될 만한 광대한 헤파이스토스 신전을 건립했다고 한다.

 


블랙 아테나

–  마틴 버낼 / 오흥식 역 / 소나무 / 2006.01.10

 

…… 일반적으로 『멤피스 신학』이라고 불리는, 기원전 2000~1000년 혹은 3000~2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원문에서 비롯한다. 『멤피스 신학』이 묘사하는 우주창조설에 따르면, 멤피스의 지역신인 프타와 그에게서 나온 아툼은 최초의 존재들이었다. 프타는 그의 정신이 위치한 심장에서 세계를 창조했으며, 그의 혀를 통해, 즉 말이라는 행위를 통해 세계를 실현했다. 비록 페스튀기에 신부와 보일런 신부가 서둘러 부정하기는 했지만, 이는 플라톤적이고 그리스도교적인 로고스, 즉 ‘말씀’과 대단히 유사하게 보인다. “말씀은 하느님과 함께 계셨고 하느님과 똑같은 분이셨다. 말씀은 처음 천지가 창조되기 전부터 하느님과 함께 계셨다. 모든 것은 말씀을 통하여 생겨났고…”

이집트학 학자 제임스 헨리 브리스테드는 『멤피스 신학』을 번역하여 출간한 후 다음과 같이 썼다.

위에서 언급한 세계라는 개념으로 미루어보건대, 이제껏 훨씬 뒤늦은 시기에 외국에서 이집트로 도입되었다고 여겨져 온 누스와 로고스라는 후기의 개념이 이 이른 시기에 존재했음을 시사하는 충분한 기반을 형성한다. 따라서 그리스 철학이 이집트에서 기원했다는 그리스 전승은, 최근 인정된 것 이상의 진실을 담고 있음에 틀림없다.

……

이 우주창조설에서 토트의 역활은 프타의 심장이었고, 프타의 혀는 호루스였다.

 


중동신화

–  후크 / 박화중 역 / 범우사 / 2001.11.15

 

…… 프타(Ptah)는 원래 멤피스의 작은 지방 신에 불과했다. 신화적 형식으로 기록된 이집트의 한 문헌에는 멤피스 신학의 주요 특징이 나타나 있다. 멤피스 신학은 헬리오폴리스의 엔네아드의 모습을 변형시켜 프타(Ptah)가 창조 활동에 중심적인 역활을 한 것으로 부각시켰다. 창조 신화를 기록한 유명한 이집트의 한 문헌에 의하면, 프타는 태초의 물인 눈(Nun)과 동격이며, 아툼을 낳았고, ‘신적인 언어, 즉 말씀으로 헬리오폴리스의 엔네아드를 창조했다고 한다. 멤피스 신학의 신조로 볼 수 있는 기록을 다음에 간략히 요약해 보았다.

위대한 왕좌에 계신 프타여!

아툼을 낳으신 아버지 프타-눈이시며,

아툼을 낳으신 어머니 프타-나우네트시여:

위대한 프타, 당신은 엔네아드의 심장이며 혀이십니다.

(프타께서) 신들을 낳으셨습니다.

이집트인의 관념 속에서 심장과 혀는 생각과 말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창조주의 가장 특별한 능력과 속성을 상징하며, 각각 호루스와 토트로 신성시되었다. 프타는 생각과 말을 통하여 신들을 만들어 냈고, 혼돈의 세계에 질서를 부여했다. 마르둑처럼 운명을 정하고, 인간들에게 곡식을 기르고 먹을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며, 이집트를 도시와 지방으로 나누고, 신들이 지배하고 있는 각지에 여러 지방 신을 두어 이에 합당한 임무를 부여했다. 프타 신의 창조 신화는 ‘그리고 프타가 만물을 창조한 후에 쉬었노라(혹은 만족하였다)’라는 말로 끝난다. 이러한 표현은 창세기 1장의 제사장 문서에서 야훼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한 후에 ‘지은 신 모든 것을 보시니 보기에 심히 좋았더라'(창 1:31), ‘…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창 2:2)등의 내용과 유사하다는 사실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프타와 아툼 – 레를 동일시하는 전승은 창조자 레에 대한 헬리오폴리스 신학과 매우 정교한 우주론적 세계관에 기초한 신화를 발전시켰던 멤피스 신학과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이집트 신화에는 인간 창조에 대한 별다른 언급이 없다는 사실이 매우 특이하다. 이집트 문헌에는 크눔(Khnum)이 도자기를 빚는 물레 위에서 인간을 만들었다는 이야기와, 다양한 그의 활동이 묘사되어 있다.

 


Diodorus Siculus, Book 1: A Commentary

– Anne Burton / BRILL / 1973

 

I3-3  The Greek god Hephaestus was identified with the Egyptian god Ptah, an identification aided by the fact that Ptah was noted as a craftsman, while Hephaestus was the god of smithying.

The story of the discovery of fire given here does not follow the usual Greek tradition, according to which it was Prometheus who stole fire from Zeus (ap. Hesiod, Aeschylus, etc.), or from Hephaestus and Athene (ap. Plato), and gave it to mankind. It is certainly not Egyptian in origin, and the setting is entirely Greek. J. G. Frazer, speaking of the Indian myths concerning the origin of fire, remarks that the fire-bringer Matarisvan is probably a personification of the lightning-flash, and compares him with Hephaestus, who fell from heaven. He continues, “Perhaps the Greek legend of the fall of Hephaestus from heaven may have been a mythological expression of the same natural and often repeated phenomenon. If that were so, we might expect to find Hephaestus figuring in Greek mythology as the first bringer of fire to men, but no such myth, so far as I know, has come down to us.” Farnell disagrees with this, maintaining that althought the lightning-struck is cited as the source of the celebrated “Lemnian fire”, this does not mean that Hephaestus was a god of lighting. The Roman god Vulcanus was associated with Lemnos, being believed to have landed there after falling from heaven, but his exact connection with fire or lighting cannot have been clearly defined. It may be that the tradition involving Prometheus was discarded here in favour of one naming Hephaestus, simply because the latter was identified with the Egyptian Ptah.

 


멤피스 창세신화 – 발화를 통한 창조행위의 비교종교학적 의미

– 유성환 / 종교와 문화 (ISSN : 19767900) / 2016년 12월

 

『멤피스 창세신화』는 고대로부터 전승된 이집트의 종교 문서 중 가장 심오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그러나 『멤피스 창세신화』는 이집트의 종교를 다룬 여러 문서를 통해 단편적으로만 소개된 것이 사실이다. 이집트로부터 전승된 창세신화 중 『헤르모폴리스 창세신화』는 창조 이전의 상황에 초점을 두고 태초의 대양이 보유한 본질적인 속성을 설명한다. 그리고 이집트의 가장 기본적인 창세신화라 할 수 있는 『헬리오폴리스 창세신화』는 태초의 대양을 배경으로 창조주이자 원발자인 아툼이 자신의 몸을 발현하여 우주를 창조하는 창조과정을 기술하는데 여기서 아툼은 자위 혹은 체액 방출과 같은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우주의 구성요소를 이루는 신들과 다른 모든 대상을 창조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두 창세신화보다 비교적 후대에 창작된 『멤피스 창세신화』는 기존 창세신화에 제시된 구조를 변형하는 방법으로 멤피스의 주신 프타의 창조행위를 설명하는데 이 창세신화에 따르면 프타는 태초의 대양과 동일한 신격을 보유한 창조주로서 아툼에 선행하며 창조과정 역시 심장을 통한 창조적 인식과 혀로 대표되는 조음기관을 통한 창조적 발화가 핵심을 이룬다.

 

『멤피스 창세신화』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이원론적인 창조과정이다. 요컨대 창조주의 창조행위를 통해 현상계에 발현되는 모든 개별자에 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성한 말씀” 혹은 “성각문자”가 동시에 창조되는데 따라서 창조행위를 통해 창조된 모든 개별자는 창조주가 원래 의도했던 창조적 인식의 형상, 즉 완벽한 이미지로서의 “성각문자”에 기인한다. 프타를 인식과 발화를 통해 모든 것을 창조한 창조주로 상정한 『멤피스 창세신화』는 향후 그리스 철학에 등장하는 신성한 데미우르고스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기독교의 “말씀” = “로고스” 개념에도 영향을 미쳤다. 『멤피스 창세신화』에 따르면 “성각문자”는 그리스 철학의 에이도스와 조응하며 따라서 고대 이집트인들이 가지고 있던 사물과 완벽한 기호 간의 관계는 그리스의 이원론 개념이 독자적인 신화를 통해 표현된 탁월한 지적 성취로 평가 받을 만하다.

 


세계의 모든 신화

– 케네스 C. 데이비스 / 이충호 역 / 푸른숲 / 2008.11.20

 

…… 이 다양한 이집트의 창조 이야기들은 세부 사실에는 차이가 나더라도 비슷한 내용이 많으며, 등장 인물도 일치할 때가 많다. 그리고 모든 이야기에서 창조의 중심에 태양(정확하게는 태양신)이 있으며, 태양은 태초에 혼돈의 물인 눈(Nun)에서 태어났고, 눈은 시간이 시작되던 때에 존재했던 무한하고 형체가 없는 깊은 심연으로서 나일 강의 원천이라는 내용은 공통으로 등장한다.

최초의 신들이 나타나기 이전에 존재했던 혼돈의 바다는 생명의 모든 잠재력을 다 포함한 채 오직 창조자가 출현하기만 기다리고 있었다. 물에서 시작된 이 창조 이야기는 기묘하게도 “처음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지어내셨다. 땅은 아직 모양을 갖추지 않고 아무것도 생기지 않았는데, 어둠이 깊은 물 위에 뒤덮여 있었고, 그 물 위에 하느님의 기운이 휘돌고 있었다.”라는 《성서》의 첫 부분과 일치한다.

이집트의 창조 신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고대 이집트의 정치적 수도인 멤피스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멤피스는 그리스식 이름이다. 원래의 이집트어 이름은 ‘흰 벽’으로 번역되는데, 신성한 도시를 둘러싸고 있던 성벽을 가리킨다. 이곳에서는 아주 오래된 창조신 프타가 세상을 창조했다고 믿었고, 프타를 위한 신전이 이집트 도처에 세워졌다. 대부분의 학자는 그리스인이 ‘프타의 영혼의 신전’이란 뜻의 ‘헤웨트-카-프타(Hewet-ka-Ptah)’라는 이집트 단어를 ‘아이굽토스(Aeguptos)’로 번역했고, 이것이 결국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이집트(Egypt)’라는 단어가 되었다고 믿고 있다.

‘장인’의 수호신인 프타는 생각과 말만으로(고대의 성직자가 쓴 글에서 표현했듯이 “그의 마음과 혀를 통해”) 세상을 창조할 수 있었다. 프타는 그저 이름을 말함으로써 이집트의 모든 것과 태양신 아툼(Atum)을 비롯한 모든 신과 도시와 신전을 만들어냈다. 다시 말해서, 이 창조 이야기는 훨씬 훗날에 등장하는 <창세기>의 첫 번째 창조 이야기와 유사하다. 《성서》에서 하느님도 말로써 우주를 창조한다(하느님께서 “빛이 생겨라!” 하시자 빛이 생겨났다). 학자들은 이집트의 창조 신화와 《성서》의 창조 이야기의 유사성이 순전히 우연의 일치인지, 아니면 이집트의 창조 신화가 고대 히브리 민족에게 영향을 미쳤는지를 놓고 많은 추측을 제기하면서 논쟁을 벌여왔다. 이에 대한 답은 아직까지 나오지 않았고, 어쩌면 이것은 영원히 답을 알 수 없는 질문인지도 모른다.

이집트의 신성한 동물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멤피스의 신성한 아피스(Apis) 황소로 대표되는 프타는 창조신으로 간주되었고, 이집트의 왕들은 그의 신전에서 대관식을 치렀다. 그러나 프타는 최고신의 자리에는 오르지 못하고, 다른 신들과 합쳐져 죽음의 신이 된다. 그리스인은 훗날 프타를 대장장이 신인 헤파이스토스(Hephaestos)와 동일시했다. 좀 덜 중요한 다른 이집트 신화에서 프타는 이집트를 침공한 아시리아군에게 쥐들을 보내 활시위와 방패 가죽을 갉아먹게 함으로써 물러가게 하는 기적을 일으킨다. 프타를 가장 잘 나타낸 유물 중 하나는 투탕카멘의 무덤에서 발견된 조그마한 황금 조각상이다.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

–  정재서, 전수용, 송기정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2008.02.29

 

기원전 3000년경 상이집트의 메네스 혹은 나르메르는 하이집트를 정복하여 제1통일 왕조를 세우고 그 수도를 멤피스로 정한다. ‘백색 성벽’으로 알려진 멤피스는 헬리오폴리스 같은 오래된 도시들과 그리 멀지 않은 곳에 있었으며, 상이집트와 하이집트의 경계 지점으로부터 남쪽으로 약 20Km 지점에 위치하여 두 땅을 효과적으로 통치하기 좋은 장소였다. 당시 이집트에는 이미 태양신 아툼을 중심으로 한 헬리오폴리스 신화가 정착되어 있었다. 그러나 통일왕조의 지배자들은 멤피스라는 새로운 도시가 정치적으로뿐 아니라 종교적으로도 다른 도시들보다 우월함을 증명해야 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멤피스를 중심으로 하는 새로운 신학의 정립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우리에게 전해지는 멤피스 신화는 제25왕조의 샤바카 왕(기원전 712 – 698)이 발견한 파피루스 문서에 기록된 내용에 근거한다. 이 문서에는 그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창조 신화가 기록되어 있었다. 샤바카 왕은 이 문서를 영원히 보존하기 위하여 돌판에 그 내용을 새길 것을 명령했고, 그 돌판은 1800년대 초 사카라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샤바카 석비는 멤피스 최고의 신인 프타(Pta)가 모든 신들을 태어나게 한 이집트 최고의 창조신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전통적인 헬리오폴리스의 신성과의 관계가 정립되었어야 했을 것이다. 따라서 멤피스 신학은 프타를 낳은 아버지인 눈과 어머니 나우네트(Naunet)와 동일시하면서, 다시 말해서 전통적인 창조신인 아툼의 부모와 프타를 동일시함으로써 아툼과의 관계에서의 프타의 우월성을 강조한다.

프타는 구신계의 심장이자 혀이며, 그의 창조 행위는 말씀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행위는 아툼이 자위 행위와 입으로 뱉어냄을 통해 신들을 탄생시킨 것과 비교된다. 프타의 창조 행위는 심장, 즉 마음에 물질을 품고 혀, 즉 말로 인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물질적이 아닌 정신적인 것이었으며 이는 요한복음에 나오는 로고스 창조론을 연상시킨다.

 


그림으로 보는 세계신화사전

–  아서 코트렐 / 편집부 역 / 까치 / 1997.04.01

 

프타 (Ptah)

이집트 신들의 체계 속의 지도적인 신의 하나이다. 프타 숭배의 중심지는 멤피스였으며, 거기서 프타는 사자(獅子)의 여신 세크메트(Sekhmet)를 아내로 거느리고 또 네페르템을 아들로 거느렸다. 최초에 프타는 원초의 물인 눈(Nun)으로서 존재했다. 프타-눈은 말로써 또는 진흙을 이겨서 세계를 창조했다. 어떤 문헌에서는 헬리오폴리스의 창조 신화에서 레(Re)로 여겨지는 아툼의 탄생이 프타의 공적으로 되어 있기조차 하다. 그렇게 해서 프타의 사제들은 그들의 우주론 속에서 서로 대립하는 교리의 중요한 요소들을 합치시키려고 했다. 멤피스의 신은 공동묘지의 신과 보다 지역적인 합병도 했는데, 그 결과 그는 프타-소카르가 되었다.

프타는 언제나 생명의 상징이며 우주의 생산력인 앙크를 가진 인물로 표현되어 왔다. 프타는 대장장이의 신으로 여겨졌을 가능성도 있다. 왜냐하면 그리스 인이 프타를 장인의 신인 헤파이스토스와 결부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멤피스에서는 또 아피스 수소에 대한 숭배가 유행했다. 많은 수소와 암소가 각지에서 신성시되었으나, 그것들은 멤피스의 수소 숭배에 비하면 아주 뒤떨어진 것이었다. 아피스 수소는 언제나 한 시기에 한 마리만 사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그 다음으로 신성한 우리 속으로 들어갈 소는, 그의 선대의 미라가 왕후와 같은 옷을 걸치고 석관 속에 잠들어 있는 선조들의 미라와 나란히 가로놓이고 난 후에야 신들에 의해서 선택되었다. 이집트의 신들 가운데서도 유력한 몇위의 신들의 사제들이 아피스 수소와 관련된 의식에 참가했다. 프타와 아피스 수소의 정확한 관계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죽음에 즈음하여 그 동물은 오시리스가 된다고 한다.

 

헤파이스토스 (Hephaistos)

그리스의 대장장이의 신으로서 그는 부모인 제우스와 헤라의 싸움에 끼어들었다가 한쪽 다리가 부자유스럽게 되었다. 성이 난 제우스가 아들을 올림포스에서 내쫓았을 뿐 아니라, 렘노스 섬에 그의 무거운 몸을 내동댕이쳤기 때문이다. 후세의 달라진 전설로는 그는 절름발이 난쟁이로 태어났다든가, 정나미가 떨어진 헤라가 그를 바다에 던졌는데 만약 바다의 요정이 그를 구해주지 않았다면 익사했을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헤파이스토스는 소아시아에서 도입된 신으로 보인다. 그는 지하의 불과 동일시 된다. 그리스 인에게 소아시아의 렘노스 섬은 화산 활동의 상징이다. 아테네에서나 그밖의 수공업 도시들에서나, 그는 불을 장사 도구로 사용하는 장인들의 신이 되었다. 그의 작업장은 시칠리아 섬의 에트나 화산 속에 있다고 여겨져왔다. 로마인은 그들의 신인 불카누스를 헤파이스토스에 해당한다고 생각했다. 그 역시 화산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세케르 (Seker)

이집트의 신으로 머리가 매의 머리인, 남성 미라의 형태를 한 장례신이다. 세케르 예배의 중심지는 멤피스의 공동묘지였다. 그리고 지하세계의 세케르의 영역에서는 뱀과 비슷한 네헤브카우가 사자(死者)를 기다리며 누워 있었다. 세케르는 때때로 그와 마찬가지로 미라의 모습으로 나타나는 오시리스와 동일시되었으며, 또 멤피스 시에서 숭배되었던 장인(匠人)의 신 프타와도 동일시되었다.

 


헤파이스토스 관련 고대 문헌 인용문

 

Homer, Iliad 2. 426 ff (trans. Lattimore) (Greek epic C8th B.C.) :

“[The men] pitted the vitals and held them [to cook] over the flame of Hephaistos.”

 

Homer, Iliad 17. 88 ff :

“Looking like the flame of Hephaistos, weariless.”

 

Homeric Hymn 4 to Hermes 115 ff (trans. Evelyn-White) (Greek epic C7th to 4th B.C.) :

“The strength of glorious (klytos) Hephaistos was beginning to kindle the [sacrificial] fire.”

 

Aeschylus, Agamemnon 281 ff (trans. Smyth) (Greek tragedy C5th B.C.) :

“Hephaistos [i.e. as the fire of the beacons], from Ida speeding forth his brilliant blaze. Beacon passed beacon on to us by courier-flame: Ida, to the Hermaean crag in Lemnos; to the mighty blaze upon the island succeeded, third, the summit of Athos sacred to Zeus.”

 

Homer, Odyssey 6. 233 & 23. 160 ff (trans. Shewring) (Greek epic C8th B.C.) :

“As when a man adds gold to a silver vessel, a craftsman taught by Hephaistos and Athene to master his art through all its range, so that everything that he makes is beautiful.”

 

Hesiod, Theogony 864 ff (trans. Evelyn-White) (Greek epic C8th or 7th B.C.) :

“Iron, though that is the strongest substance, melts under stress of blazing fire in the mountain forests worked by handicraft of Hephaistos inside the divine earth.”

 

Homeric Hymn 20 to Hephaestus (trans. Evelyn-White) (Greek epic C7th to 4th B.C.) :

“Hephaistos famed for inventions (klytometis). With bright-eyed Athene he taught men glorious crafts throughout the world,–men who before used to dwell caves in the mountains like wild beasts. But now that they have learned crafts through Hephaistos the famed worker (klytotekhnes), easily they live a peaceful life in their own houses the whole year round.”

 

Solon, Fragment 13 (trans. Gerber, Vol. Greek Elegiac) (Greek elegy C7th to 6th B.C.) :

“[One] who has learned the works of Athena and Hephaistos Polytekhnes (the god of many crafts) gathers in his livelihood with his hands.”

 

Plato, Protagoras 320c – 222a :

“The appointed hour was approaching when man in his turn was to go forth into the light of day; and Prometheus, not knowing how he could devise his salvation, stole the mechanical arts of Hephaistos and Athene, and fire with them (they could neither have been acquired nor used without fire), and gave them to man . . . he entered by stealth into the common workshop of Athene and Hephaistos, in which they used to practise their favourite arts, and carried off Hephaistos’ art of working by fire, and also the art of Athene, and gave them to man. And in this way man was supplied with the means of life.”

 

……

 


<관련 그림>

 

– ‘하얀 벽’이라고도 불리던 멤피스의 상상도. 오른쪽이 프타 대신전(?)

 

 

– 멤피스의 프타 신전을 방문한 알렉산더 대왕

 

 

– 헤파이토스의 귀환 / 아르카익 [archaic]

헤파이스토스는 디오니소스 신 앞에서 당나귀를 타고  올림포스로 돌아간다.

 

 

– Ptah-Pataikos

 


<참고자료 및 관련자료>

 

https://en.wikipedia.org/wiki/Hephaestus

https://en.wikipedia.org/wiki/Ptah

https://en.wikipedia.org/wiki/Kothar-wa-Khasis

https://en.wikipedia.org/wiki/Cabeiri

https://www.theoi.com/Olympios/Hephaistos.html

2018-09-12  이집트의 프타 신화로 본 ‘말씀을 통한 창조’

헤파이스토스와 프타
Tagged on:                     

One thought on “헤파이스토스와 프타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