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국보 제48호

※ yellow의 세계 – 문화재 : http://yellow.kr/nt.jsp

※ 국보 제48호 /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平昌 月精寺 八角 九層石塔)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월정사 (동산리)

고려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자장율사가 창건한 월정사 안에 있는 탑으로, 그 앞에는 공양하는 모습의 석조보살좌상이 마주보며 앉아 있다.

탑은 8각 모양의 2단 기단(基壇) 위에 9층 탑신(塔身)을 올린 뒤, 머리장식을 얹어 마무리한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眼象)을 새겨 놓았고, 아래·위층 기단 윗부분에는 받침돌을 마련하여 윗돌을 괴어주도록 하였다. 탑신부는 일반적인 석탑이 위층으로 올라 갈수록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과 달리 2층 탑신부터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고 있으며, 1층 탑신의 4면에 작은 규모의 감실(龕室:불상을 모셔두는 방)을 마련해 두었다. 지붕돌은 밑면에 계단 모양의 받침을 두지 않고 간략하게 마무리하였고, 가볍게 들려있는 여덟 곳의 귀퉁이마다 풍경을 달아 놓았다. 지붕돌 위로는 머리장식이 완벽하게 남아 있는데, 아랫부분은 돌로, 윗부분은 금동으로 만들어서 화려한 아름다움을 더해주고 있다.

고려시대가 되면 4각형 평면에서 벗어난 다각형의 다층(多層)석탑이 우리나라 북쪽지방에서 주로 유행하게 되는데, 이 탑도 그러한 흐름 속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고려 전기 석탑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당시 불교문화 특유의 화려하고 귀족적인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전체적인 비례와 조각수법이 착실하여 다각다층석탑을 대표할 만하다. 또한 청동으로 만들어진 풍경과 금동으로 만들어진 머리장식을 통해 금속공예의 수법을 살필 수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일주문과 전나무길을 지나 월정사에 들어서면 정면에 가장 눈에 띄는 탑이 팔각 구층석탑이다. 전체 높이는 15.2m이다.

1

『삼국유사』 대산월정사오류성중조에는 월정사에 성자의 유적인 9층탑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서 지칭하는 9층탑은 현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월정사 대적광전 앞에 있는 월정사8각9층석탑을 말한다.

월정사는 조선조에 들어 중건을 거듭했으나 6.25 당시 처참하게 피해를 입어 문화재도 많이 소실되었으며, 그 후 재건되었다. 탑도  6.25 전쟁의 피해를 입어 해체, 복원했다.

2

월정사의 유명한 전나무길은 4~5백 년을 넘긴 나무가 1km가량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울창하다.

3
산책하는 기분으로 빽빽한 전나무 숲에서 피톤치트를 흠뻑 마시는 것이 월정사 여행의 첫걸음이다.

탑의 남쪽 면 앞에는 북쪽을 향해 앉은 보살석상이 있는데, 이러한 유례는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아래 <참고 그림> 참조)에서도 볼 수 있다. 이 지방의 특색으로 보인다.
4
– 월정사 석조보살좌상은 1963년 보물 제139호로 지정되었다. 높이 1.8m로 머리에는 높은 관을 착용하고 왼손으로 오른손을 감싼 두 손을 가슴 앞에 모아 쥔 후 반개한 두 눈으로 탑을 응시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신복사지상과 동일한 양식수법을 보여준다.

5

6

고려의 석탑 분류에서 고구려계 석탑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는 석탑으로는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을 비롯해 북한 소재의 영명사 팔각오층석탑(평남 평양), 광법사 팔각오층석탑(평남 대동), 율리사지 팔각오층석탑(평남 대동), 보현사 팔각십삼층석탑(평북 영변) 등이 있다. 이들은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을 중심으로 건립되었으며 기단부를 비롯해 탑신부까지 평면 팔각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고구려계 석탑에 대한 최초의 연구는 고유섭 선생에 의해 통사방식의 논증이 이루어졌으나 신라석탑에 비해서는 소홀히 취급되었다. 고유섭은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에 대해 통일신라 석탑의 장식적 요소의 발전이 한계에 이르면서 출현한 異形石塔의 한 갈래이며, 이 같은 석탑의 출현은 고려시대 한강 이북지역에 많기 때문에 요나라 · 금나라 계통 탑파로 부터의 영향을 피력하였다.

황수영은 고려 석탑의 특징으로 ‘지방적 특색의 가미’를 통해, 석조미술이 앞의 시대에 비해 토착화가 진전된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외에 『고려의 미술』에서는 월정사 석탑은 요나라 · 송(宋) 등 중국과 같은 시기 탑의 영향을 받았으며, 고려 초기인 11세기경에 제작되었다고 하였다.

월정사 석탑에 대한 연구자료로는 1971년 해체 수리기록과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수장되어 있는 『전신사리경全身舍利經』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수다사水多寺 장로 유연有緣이 13세기 중반에 사명을 개칭하면서 월정사 팔각구층석탑의 건탑 및 전신사리경을 함께 조성했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정영호는 다각다층석탑은 북방계 영향으로 건립된 석탑이며 그 연원을 고구려 목탑양식에 둔, 고구려 탑파의 재현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박경식은 고려시대에 유행한 팔각다층석탑 건립에 송나라의 영향이 부분적으로 반영될 수 있으나 근본적 원인은 백제계 석탑의 양상과 같이 고구려 문화로 회귀하고자 하는 마음이 석탑에 표출된 것을 양식출현의 배경으로 이해하였다. 만약 송나라의 영향이라면 다각다층석탑 건립이 전국적이어야 하는데 평양을 중심으로 국한되어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 고려 전기의 대표적 석탑
– 개성 불일사 5층 석탑(백제의 전통)
– 오대산 월정사 팔각 9층 석탑(고구려의 전통)
– 개성 흥국사 석탑(신라의 전통)
– 개풍 현화사 7층 석탑(고려의 독특한 양식)


<참고 그림>

7
– 강릉 신복사지 삼층석탑(보물 제87호)과 석조보살좌상(보물 제84호)

 

8
– 묘향산 보현사 팔각십삼층석탑


<관련자료 및 참고자료>

사찰여행 42 (유철상 / 상상출판 / 2010.07.01)
새문화유적지도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2003.01.25)
고려 석탑 연구 (홍대한 /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1)
네이버 지식백과(문화원형백과) : 월정사9층석탑
위키백과
불교미술관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국보 제48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