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슈누 (Vishnu) – 인도신화
비슈누(Vishnu)는 힌두교에서 주요 신 가운데 하나로, 우주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맡은 신이다. 힌두교의 삼신일체(Trimurti) 중 하나로, 브라흐마(Brahma, 창조의 신)와 시바(Shiva, 파괴의 신)와 함께 우주의 균형을 담당한다. 비슈누는 자비롭고 인자한 신으로, 혼란과 악이 세상을 위협할 때마다 아바타(Avatara)로 현현하여 질서를 회복하는 역할을
Free As The Wind
비슈누(Vishnu)는 힌두교에서 주요 신 가운데 하나로, 우주를 보호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맡은 신이다. 힌두교의 삼신일체(Trimurti) 중 하나로, 브라흐마(Brahma, 창조의 신)와 시바(Shiva, 파괴의 신)와 함께 우주의 균형을 담당한다. 비슈누는 자비롭고 인자한 신으로, 혼란과 악이 세상을 위협할 때마다 아바타(Avatara)로 현현하여 질서를 회복하는 역할을
중국신화의 복희(伏羲), 여와(女娲)는 다른 문명의 신화와 관련이 없을까? 다음과 같은 글에서 같은 신이 문명의 전파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성격이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음을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 관련글 – 그리스 신화와 이집트 신화 : http://yellow.kr/blog/?p=1262 – 제우스 = 인드라 = 제석천 = 상제
별자리와 문명 : http://yellow.kr/blog/?p=522 에서 언급했듯이 지구의 ‘춘분점 세차운동’으로 자전축의 이동이 발생하는데, 춘분날 태양이 떠오르는 별자리로 구분한 시대에서 현재는 물고기자리의 시대이며 종교의 시대, 예수 그리스도의 시대이다. 누군가는 이미 다음의 시대인 물병자리로 넘어갔다고도 한다(물병자리의 시작이 언제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점성학적으로 물고기자리의 시대는 물고기자리의 “영적” 본성으로 인해
그리스인들은 디오니소스(Dionysos)를 이집트 신인 오시리스(Osiris)와 같다고 보았다. 관련 자료를 모아 보았다. ※ 그리스 신화와 이집트 신화 – 신들의 비교 : http://yellow.kr/blog/?p=1262 ‘죽음과 부활의 신’인 오시리스(Wesir, Asr, Ausir, Asiri, Ausar, Osr등)는 이집트에서 가장 유명한 신이다. 그러나 그 기원은 잘
오시리스 신화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가장 정교하고도 영향력이 큰 이야기이다. 태고의 이집트 왕, 오시리스 신의 살해와 그 결과에 대한 내용이다. 오시리스(Osiris)의 살인자인 동생 세트(Seth)는 그의 왕좌를 빼앗고, 반면에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Isis)는 남편의 시신을 수습하고 그로부터 임신을 하고 호루스가 태어난다. 이야기의 나머지는 주로
최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