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 hsy6685

정제마진 조회 – Neste reference margin

정유주를 투자하기 위해서는 주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정제마진(Refining Margin)을 알아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을 기준으로 삼는다. 그런데 무료로 매일 업데이트되는 정제마진 정보를 구할 수가 없어 궁여지책으로 핀란드 석유,가스 국영 회사인 Neste에서 제공하는 기준 정제마진(Neste reference margin)을 참고한다.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과는 같지 않음을 감안해야 한다. 물론 더 좋은 제공처가 있으면 교체할 것이다. ※ Neste 기준 정제마진 조회 : […]

미국 장단기 금리차

※ 미국 장단기 금리차 조회 : https://yellow.kr/financeT10Y2Y.jsp   미국 장단기 금리차 = 장기금리(10년물 국채 수익률) – 단기금리(2년물 국채 수익률)   장단기 금리차는 경기 선행지수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이를 살피는 것은 향후 경기의 판단이나 자산에 대한 중장기 투자를 하기에 앞서 반드시 점검해야 할 포인트이다. 장단기 금리가 역전이 되면 보통은 경기침체의 전조로 해석한다.   <그림1> 미국 주가(빨간색)와 미국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   […]

아담의 아들 셋과 이집트 신 세트와의 관련성 (?)

다음의 글에서 야훼와 이집트 신 세트의 관련성에 대한 자료들을 찾아 보았다. ※ 야훼, 세트, 포세이돈 – 다른 이름 같은 신 ? – 옐로우의 블로그   『구약성서』에는 아래의 (그림1)과 같은 아담과 이브의 가족 계보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창세기」 4장에는 가인의 후예가, 5장에는 셋(세트)의 후예가 나온다. 셋 또는 세트는 기독교의 구약성경 또는 유대교 히브리어 경전인 타나크의 창세기와, 나스티시즘의 여러 성전과 […]

야훼, 세트, 포세이돈 – 다른 이름 같은 신 ?

마틴 버낼(Martin Bernal)은 『블랙 아테나(Black Athena)』에서 그리스 신화의 포세이돈Poseidon이 이집트 신화의 세트Seth, 이스라엘의 하느님 이름인 야훼Yahweh와 같다고 주장했는데, 아주 흥미로운 주제라 조사에 들어간다. 우선  『블랙 아테나(Black Athena)』의 글을 인용하면: 나는 포세이돈이 황야와 바다의 신으로서 힉소스의 숭배를 받았던 이집트의 세트(Seth), 그리고 셈족의 얌(바다) 및 야훼(Yahweh)와 일치한다고 생각한다. 아테나는 이집트의 네이트, 셈족의 신으로는 필시 아나트였을 것이다. …. 이집트 신화에서 […]

관산성 전투, 백제 성왕의 전사 – 554년

백제와 신라 사이에 벌어진 관산성(管山城)전투는 두 나라 미래의 명운을 결정짓는 한판의 승부였다. 이 전투의 중요성을 보면 작지가 않은데, 백제는 중흥의 기틀을 빼앗기고 신라는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지는 그런 역사적 사건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동안 이를 전문적으로 다룬 논문이 적지 않게 나왔음은 그를 방증한다.   백제는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聖王)이 사망한 후 그 설욕을 위해 부심했다. 6세기 중엽까지 […]

신라가 한강을 차지하다 – 553년

백제 성왕이 551년 한강유역을 재점령(https://yellow.kr/blog/?p=2395)했지만 신라가 백제를 공격하여 553년 한강유역을 차지한 것으로 알고 있다.   백제가 신라에게 한강유역을 빼앗기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신라의 기습 공격설이 대표적이지만 백제의 포기설도 있다. 백제의 한성 포기는 『일본서기』의 552년 부분에 “이 해에 백제가 한성과 평양을 포기하였다. 그래서 신라가 한성으로 들어갔다. 현재 신라의 우두방(牛頭方), 니미방(尼彌方)이다[지명이지만 자세히 알 수 없다.].”라는 내용이 있기 때문일 […]

백제 성왕, 한강 유역 재점령 – 551년

일반적으로 교과서나 백과사전 등을 보면 551년의 백제 한강유역 재점령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538년 사비로의 천도 후 백제 성왕은 한강 유역 회복작전을 기도하였다. 그러나 자력으로 고구려를 공격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신라·가야군과 연합군을 형성하였다. 이 시기 고구려는 대외적으로는 서북으로부터 돌궐(突厥)의 남하에 따른 압력을 받고 있었고, 내적으로는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외척들이 싸움을 벌이는 등 내분에 처해 있었다. 이 틈을 이용하여 […]

아르테미스와 바스테트(바스트)

그리스인들은 아르테미스(Artemis)를 이집트 신인 바스테트(Bastet)와 같다고 보았다.   ※ 그리스 신화와 이집트 신화 – 신들의 비교 – 옐로우의 블로그   두산백과에서 ‘바스트’를 찾아보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097628&cid=40942&categoryId=31541) 바스테트(Bastet)라고도 한다. 부바스티스(Bubastis)의 수호신으로 고양이나 암사자의 머리 모습을 하고 있다. 한 손에 시스트럼(Sistrum:악기의 일종)을 들고 다른 한 손에는 방패를 들었으며, 한쪽 팔에는 바구니를 걸치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오시리스(Osiris)와 이시스(Isis)의 딸이자 호루스(Horus)의 […]

아프로디테와 하토르

그리스인들은 아프로디테(Aphrodite)를 이집트 신인 하토르(Hathor)와 같다고 보았다. ※ 그리스 신화와 이집트 신화 – 신들의 비교 – 옐로우의 블로그 하토르 (Hathor) 두산백과에서 ‘하토르’를 찾아보면,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0790&cid=40942&categoryId=31541) 태양의 신인 라(Ra)의 딸이자 역시 태양신으로 숭배받는 호루스(Horus)의 아내이다. 그리스신화의 아프로디테(Aphrodite:로마신화의 비너스)와 동일시된다. 하늘·사랑·기쁨·결혼·춤·아름다움 등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는 여신으로 표현되는데, 보통 사랑과 미의 여신으로 숭배받는다.   본래 ‘호루스의 집’으로 해석해 태양과 […]

달러인덱스 (Dollar Index) – 가장 중요한 경제지표 중의 하나

현재 신용화폐체제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지표 중의 하나는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일 것이다. 미국 달러 지수(USDX, DXY)라고도 한다. ※ 달러인덱스 조회 : https://yellow.kr/financeUSDX.jsp 달러인덱스(Dollar Index)는 미국 달러의 가치를 주요 외국 통화 대비 측정한 지수이다. 1973년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의 요청으로 ICE(Intercontinental Exchange)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USDX 또는 DXY라는 약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외환 시장에서 달러의 강세나 약세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