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화의 복희,여와 – 이집트신화의 오시리스,이시스

중국신화의 복희(伏羲), 여와(女娲)는 다른 문명의 신화와 관련이 없을까? 다음과 같은 글에서 같은 신이 문명의 전파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며 성격이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음을 조사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있다. ※ 관련글 – 그리스 신화와 이집트 신화 : https://yellow.kr/blog/?p=1262 – 제우스 = 인드라 = 제석천 = 상제 = 환인 : https://yellow.kr/blog/?p=2717 – 아미타불과 예수 : https://yellow.kr/blog/?p=3093     우선 도상(圖像, Icon)의 비교로 […]

홀스트 – 목성, 기쁨을 가져오는 자 (Jupiter, the Bringer of Jollity)

영국 작곡가인 구스타브 홀스트(Gustavus Theodore von Holst. 1874~1934)의 대표작은 《행성》으로 그 중 ‘목성’은 4번째 곡이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s://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Chicago Symphony Orchestra) / 제임스 레바인(James Levine) 지휘 내 조국이여, 나 그대에게 맹세하노라(I Vow to Thee, My Country)은 1921년 홀스트의 행성 모음곡 중 4악장 목성에 세실 스프링 라이스(Sir Cecil Spring Rice)의 시를 붙여 노래한 것으로 영국의 […]

필레 신전(Philae Temple) – 이시스 신전

<나일강의 진주>라 불리는 아름다운 필레 신전은 <이시스 신전>이 봉헌된 곳이다. 주요 건축물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이시스 신전>으로 이집트 제30왕조의 넥타네보 1세(Nectanebo I, 기원전 380 ~ 362년) 통치 기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근처에 있는 오시리스의 성지인 비게(Bigeh) 섬과 짝을 이루게 하기 위함이었다. (오시리스의 유해가 필레 섬에 묻혔다는 전설도 있다)   대부분의 다른 유적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Ptolemaic Kingdom)에서 […]

문명별 세계사 연표

옐로우 세계의 “세계사 연표 : https://yellow.kr/yhistory.jsp“에 이어 문명별 세계사 연표를 소개한다.   ※ URL = https://yellow.kr/ghistoria.jsp   구글, 네이버에서 ‘문명별 세계사 연표’로 검색이 된다.   화면은 다음과 같다.     라벨을 클릭하면 간단한 설명을 하는 팝업 화면이 뜨고, 그 화면의 제목을 클릭하면 위키백과 등의 상세 설명을 볼 수 있는 화면이 뜬다.   기원전 3000년부터 현재까지 4개의 문명, […]

통화지표 – M0, MB, M1, M2, M3

  – 미국 통화지표 M2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보여주는 위의 그래프에서 앞으로의 변화가 궁금하다. 일반적으로 통화량의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데… 강력한 인플레가 올까?   우선 통화지표가 뭔지 좀 알아봐야겠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돈)의 양, 즉 통화량은 얼마나 될까? 사실 화폐란 현금만이 아니고 유동성에 기반한 폭넓은 정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인 통화지표는 여러 개가 존재한다. 통화량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

양희은 –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

“사랑 그 쓸쓸함에 대하여”는 양희은 작사, 이병우 작곡으로 1991년 발표한 양희은 앨범 《1991》에 수록되어 있다. ※ 옐로우의 K-Pop : https://yellow.kr/lifeView.jsp?s=yellowKpop 사랑이 끝나고 난 뒤에는 이세상도 끝나고 날 위해 빛나던 모든 것도 그 빛을 잃어버려 – 양희은 《1991》은 지금은 영화음악가와 기타리스트로 유명하지만, 당시 대중에게 무명이나 다름없던,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 유학 시절의 이병우와 미국에 있던 양희은과 합작한 앨범이다. 다른 악기를 […]

자크 브렐 – Ne me quitte pas (If you go away)

“Ne me quitte pas”는 1959년 자크 브렐(Jacques Brel)이 작곡 · 작사한 샹송이다. 자크 브렐은 벨기에 출신의 싱어송라이터 겸 배우로 샹송 발전에 기여했다. ※ 옐로우의 Pop : https://yellow.kr/lifeView.jsp?s=yellowPop 당신이 떠나지 않으면 멋진 날을 만들어 줄 거예요 전에도 없었고, 다시는 이런 날이 없도록 말이에요 우리는 햇살을 항해하게 될 것이고 비를 타고 여행할 거에요. – 자크 브렐(Jacques Brel)     […]

청동기 시대의 붕괴 (기원전 1200년경 ~ 1150년)

고대 세계사의 미스터리 중 하나가 지중해 동부 지역에 번성하던 청동기 문명의 갑작스러운 몰락이다. 청동기 시대 붕괴는 에게 해 지역,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발칸 반도, 지중해 동부 등에서 일어난  문명을 파괴하는 형태로 나타난 시기를 가리킨다. 이 시기는 청동기 시대 후기로부터 철기 시대 초기로의 전환의 시기 동안이다. 이후 위키백과 기준으로 기원전 1100년경 ~ 기원전 800년경의 ‘그리스 암흑의 시대’, 기원전 1069년경 ~ 기원전 664년경의 ‘이집트 제3 […]

퀸 – Love of My Life

※ 옐로우의 Pop : https://yellow.kr/lifeView.jsp?s=yellowPop   내가 더 나이를 먹었을 때 당신을 기억하면서 옆에 있을 거예요. 얼마나 당신을 사랑하는지.   – Love of My Life (A Night at the Opera)     “Love of My Life”는 퀸(Queen)의 1975년에 발표한 앨범 《A Night At The Opera》에 수록된 곡으로 퀸의 발라드 곡 중에서 가장 인기있는 곡이다. 프레디 머큐리가 […]

단속평형설 – 진화론

단속평형설(punctuated equilibrium, 斷續平衡說)은 진화 생물학의 이론으로 진화는 짧은 기간에 급격한 변화에 의해 야기되나 그 후 긴 기간이 지나도 생물에는 변화가 생기지 않는다(stasis)고 이야기하고 있다. 고생물학이나 화석학에서 출발하고 있는 단속 평형설에 의하면 화석에서 볼 수 있는 종간의 뚜렷한 단절을, 새로운 종이 형성될 때에 생물은 급격하게 형질이 변하나 그 변화가 일단 완료하게 되면 다시 안정된 상태(stasis)가 유지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