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이집트

  • 대피라미드 – 이집트 기자 피라미드

    세계에 존재하는 많은 피라미드들 중에 최고봉이라 할 수 있고 여전히 세계 불가사의의 중심에 있는 이집트 기자(Giza)의 대피라미드(Great Pyramid)는 정말 그 몸집 만큼이나 많은 신비를 담고 있다. 특히 매우 높은 정밀도와 복잡한 내부 체계를 둘러싼 논쟁은 앞으로도 오래 지속될 것임이 분명하다. 밑변은 230.4 × 230.4 이고 높이는 146.5 (현재 138.8)이다. 경사각은 51°52’±2’이다. 논란이 있지만 4변의 길이를 높이로 나누면 2π와 거의…

  • 대피라미드 – 내려가는 통로, 올라가는 통로

    ※ 대피라미드 : https://yellow.kr/blog/?p=3765   거대한 석회암의 맞배로 보호된 원래의 입구(Original Hidden Entrance)는 아래로 ‘내려가는 통로’와 이어져 있다. 길이는 105.23 미터, 그 각도는 26도 31분 23초이다. 이것은 피라미드의 경사 각도인 52도의 절반 정도다. ‘내려가는 통로’는 계속 내려가다가 갑자기 수평으로 8.84 미터가 진행되며, 지표면 아래 30미터에 위치한 미스터리한 지하의 방(Subterranean Chamber)과 연결된다.   ‘내려가는 통로’는 입구에서…

  • 이집트 피라미드 건설 방법에 대한 조사

    이집트 피라미드가 어떻게 건축되었는지에 대한 많은 이론이 있다. 피라미드의 발전 단계와 규모에 따라 건축기법에 차이가 있겠지만 여기에서는 최고의 불가사의로 관심을 받는 대피라미드에 촛점을 맞춰 조사해 보았다.   방위, 수평, 직각, 기울기, 길이, 대칭의 기하학적으로 완벽하게 시공된 대피라미드는 현대 기술을 동원하더라도 그 정밀도를 따라하기 쉽지 않다. 아니 어떤 공정으로 지을 것인지 궁금하기 따름이다.   개인적으로는 그리스 역사학자인 헤로도투스의 증언대로, 경사로를…

  • 대피라미드 (Great Pyramid) 크기 비교

    이집트 기자의 대피라미드(Great Pyramid of Giza) 높이는 146.5m(꼭대기 부분이 8m 가량 파손되어 현재 높이는 138.8m)이며, 밑변의 길이는 230.4m 이다. 이것이 기원전 2500여년에 만들어졌다니 얼마나 대단한가…   ※ 대피라미드 – 이집트 기자 피라미드 : https://yellow.kr/blog/?p=3765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 그림을 몇 개 찾아보았다.     – 대피라미드와 현대의 높은 건물과 비교(출처 :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tallest_freestanding_structures_in_the_world)     – 1884년…

  • 이집트 기자 피라미드

    피라미드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이집트 기자(Giza)의 피라미드 단지이다. 피라미드의 정점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는, 세계 7대 불가사의 중에서도 대표격인 쿠푸(Khufu)의 대피라미드가 있고 가장 크고 오래된 유명한 스핑크스도 있다.   기자의 3대 피라미드는 이집트 수도 카이로 도심지에서 남서쪽으로 13㎞ 정도 떨어진 기자의 사막고원에 있다. 이집트의 다른 피라미드들과 마찬가지로 나일강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지금으로부터 약 4500년 전인 피라미드 왕조라 할 수 있는…

  • 이집트 피라미드

    이집트 피라미드는 이집트에 위치한 사각뿔 모양의 석조 구조물을 말한다. 세계에는 다양한 형태의 피라미드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서로 어떤 연관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것은 대피라미드가 있는 이집트 피라미드(Egyptian pyramids)가 대표적일 것이다.   이집트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피라미드는 멤피스 북서부 사카라 (Saqqara)에서 발견된다. 이들 중에서 가장 초기의 조세르 피라미드(기원전 2630년 – 기원전 2611년 ?)는 이집트 고왕국 제3왕조 시대에…

  • 이집트학과 유사 피라미드학 발전사

    고대 이집트와 피라미드에 관련된 책을 접했을때 많은 학자들이 등장하는데 이 학자들의 학문적 경향이나 시대적인 위치, 배경 등을 알아야 좀 더 편하게 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이후의 이집트학과 그 학문적 이단인 유사 피라미드학의 역사를 한 번 간략하게 정리하고자 한다(계속 내용을 보완해야 할듯). 이를 위해서는 세계사의 흐름에서 이집트를 이해해야 하는데, 특히 그리스도교, 그리스, 이집트의 복잡한 삼각 관계를…

  • 4200년 전 기후변화 사건 – 이집트 제1 중간기

    약 4200년 전(기원전 2200년경)에 발생한 기후변화 사건(4.2 ka event)은 재앙적인 영향을 미쳐 초기 제국을 멸망시키고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변화를 초래했다. 너무나 중요해서 지구의 지질학적 역사에서 전환점을 기록했다. 즉 지질시대 분류에서 홀로세 중기 Northgrippian절과 후기 Meghalayan절(Holocene – Wikipedia)을 구분하는 사건이다. 4.2 ka 사건은 급격한 기후 변화(RCC) 사건 중 하나로, 주로 저위도 지역인 북아프리카, 메소포타미아, 지중해, 인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