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통화량 M2와 부동산, 주식의 상관관계

장기적인 관점에서 평가할 때 인플레이션은 통화량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수십 년간의 자료를 이용해 인플레이션과 통화량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양자 간에 상당히 높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대표적인 통화지표인 총통화(M2)와 인플레이션 추이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두 차례의 석유파동 기간과 외환위기 직후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두 증가율이 같은 방향으로 […]

인플레이션율

※ 인플레이션율 (inflation rate) – 미국 : https://yellow.kr/financeView.jsp?s=inflation-cpi_US – 중국 : https://yellow.kr/financeView.jsp?s=inflation-cpi_CHINA – 한국 : https://yellow.kr/financeView.jsp?s=inflation-cpi_KOREA   – 미국의 인플레이션율     인플레이션은 물가수준이 전반적 ·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을 말한다. 여기에서 물가수준은 많은 개별상품의 가격을 일정한 방법으로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price index)로써 측정한다. 물가지수는 기준년도 대비 작성 시점의 물가수준이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가지수는 소비자물가지수(CPI)이다. 다시 말하면 인플레이션은 소비자물가지수(CPI)의 […]

통화지표 – M0, MB, M1, M2, M3

  – 미국 통화지표 M2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보여주는 위의 그래프에서 앞으로의 변화가 궁금하다. 일반적으로 통화량의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데… 강력한 인플레가 올까?   우선 통화지표가 뭔지 좀 알아봐야겠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돈)의 양, 즉 통화량은 얼마나 될까? 사실 화폐란 현금만이 아니고 유동성에 기반한 폭넓은 정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통화량을 측정하는 지표인 통화지표는 여러 개가 존재한다. 통화량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