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자기장

네안데르탈인 멸종 – 약 40,000년 전

네안데르탈인은 약 4만 년 전부터 멸종 과정에 들어간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과 서아시아에 주로 거주했던 네안데르탈인은 그 마지막 흔적이 스페인의 남부 지역(지브롤터)에서 약 3만 9천 년 전으로 추정된다. ※ 옐로우의 세계사연표 : https://yellow.kr/yhistory.jsp?center=-38000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과 유럽과 근동에서 현생 인류로의 전환은 여전히 ​​대부분 불확실하고 논쟁 중이다. 네안데르탈인의 멸종 원인에 대한 가설은 여러 개 존재한다. 기후 변화, […]

라샹 이벤트 (Laschamps event) – 41,000년 전

Laschamps event(라샹 사건)은 지자기 회유(Geomagnetic excursion)였다. 대략 41,000년(±2000) 전 마지막 빙하기가 끝날 무렵에 발생했는데, 1960년대 프랑스 클레르몽페랑(Clermont-Ferrand)의 라샹(Laschamps) 용암류에서 발견되었다.   ※ 옐로우의 세계사 연표 : https://yellow.kr/yhistory.jsp?center=-39000   [지질학백과]를 보면 지자기 회유(Geomagnetic excursion)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지구자기장이 정상적인 상태로부터 멀리 벗어나는 것이 관측되어 왔다. 지구자기장의 방향이 완전히 역전되지 못하고 짧은 기간 동안 정상적인 상태로부터 멀리 벗어났다가 […]

[강희문 논문] 빙하기 원인과 지구자기장의 소멸 원리

2006년 노벨상을 예약합니다.(6) – 2006년 3월 14일 동아일보에 발표한 논문 내용 저작권자 강희문/이규훈  lkhmoon@hanmail.net   ◎ 1단계 : 10만년전 1) 빙하의 크기는 최대 2) 바닷물 양은 최소 3) 자기장축과 자전축의 각도 최소 4) 세차운동(지구를 흔드는 운동) 최소 5) 5단계에서 차단되었던 자기장 회복 6) 빙하가 매우 느리게 녹기 시작   ◎ 2단계 : 1960년 1) 10만년이 […]

[강희문 논문] 지구자기장

2006년 노벨상을 예약합니다.(5) – 2006년 2월 22일 동아일보에 발표한 논문 내용 저작권자 강희문/이규훈  lkhmoon@hanmail.net   * 지구의 물은 35억년 전 폭발한 소행성의 잔해가 지구로 들어온 것이다. * 지구의 자기장은 35억년 전 지구에 들어온 최초의 물에 의해서 생성 되었다. * 지구의 자기장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차단되는 것이다. * 2060년 지구자기장의 약 90%는 사라진다(차단된다).   자석은 자성체를 […]

일간지에 발표했던 강희문씨 논문 소개

아래는 2006년 초 즈음에 일간지에 발표 되었던 “2006년 노벨상을 예약합니다”의 내용인데 나름대로 검토해 볼만한 가치가 있는 듯하여 계속 발표했던 논문 내용을 수집하였다.     노벨상 도전 연구 논문 A. 지구의 자기장 생성 원리 (과정) 및 소멸 과정을 증명합니다. 지구 자기장 생성 원리를 찾고자 수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하였지만 정확한 원인을 모르고 있고 인류가 풀어야 할 숙제이기도 […]

지구자기장 역전(지자기 역전)과 지자기 회유

지구자기장 역전(Geomagnetic reversal) 혹은 지자기 역전은 지구의 자북과 자남의 위치가 서로 바뀌는 지구 자기장의 변화이다(지리적인 북극, 남극과 혼동하지 않도록). 만일 현재 기준으로 지구자기장 역전이 발생하면 나침반의 N극이 남쪽을 가리키고 S극이 북쪽을 가리키게 된다. 지구자기장 역전이 왜 일어나는지 아직 정확한 원인은 모른다. 그러나 고지구자기 연구를 통하여 알아낸 바에 의하면 지구 자기장이 생긴 이래로 적어도 수백 차례 이상 지자기 […]

지구 자기장 조사

생명보호막인 지구 자기장(magnetic field of the Earth)은 그 중요성에 비해 많이 알고 있지는 않다. 그리고 과학적으로 풀어야 할 많은 숙제가 남아있는 분야이기도 하다.   지구 자기장의 급변과 진화와 멸종이라는 생명체의 급변 그리고 빙하기와 대륙이동과 같은 지구 환경의 급변과의 상관관계에 대해 여러 전문가들의 가설의 발표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개인적으로도 궁금한 부분이 많다. 우선 지구자기장의 일반적인 정보에 대해 한 번 정리해 보고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