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주를 투자하기 위해서는 주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정제마진(Refining Margin)을 알아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을 기준으로 삼는다. 그런데 무료로 매일 업데이트되는 정제마진 정보를 구할 수가 없어 궁여지책으로 핀란드 석유,가스 국영 회사인 Neste에서 제공하는 기준 정제마진(Neste reference margin)을 참고한다.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과는 같지 않음을 감안해야 한다. 물론 더 좋은 제공처가 있으면 교체할 것이다.
※ Neste 기준 정제마진 조회 : https://yellow.kr/financeRefiningMargins.jsp
Neste에서는 브렌트, 우랄 원유 등을 사용하여 정제한다. 현재 Neste의 정제마진 계산은 다음과 같고,
Neste reference margin = Product value – feed cost – standard refining variable costs (2 USD/bbl) – sales freights (1.02 USD/bbl)
자세한 정제마진 계산방법은 다음의 페이지에서 참조하면 된다(사실 봐도 잘 모르겠다).

“Refining Margin“과 “Reference Margin“은 모두 정제마진과 관련된 개념이지만 의미와 사용 목적이 다르다. 그리고 실제로 정제마진에는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아래에 정리해본다:
1. Refining Margin (정제마진)
(1) 일반적인 의미
- 정유사가 석유 제품을 만들어 벌 수 있는 이익을 의미한다.
- 공식: 정제마진 = 석유제품 판매가 – 원유 구매비용 – 정제 비용
- 실제 시장에서 발생하는 마진을 측정하는 지표로, 정유업체의 수익성과 직결된다.
(2) 종류에 따라 달라짐
정제마진은 사용하는 원유 종류와 생산하는 제품 구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종류 | 설명 |
---|---|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 | 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널리 참고. 싱가포르 시장에서 가공되는 다양한 유종과 제품 기준. |
Hydrocracking Margin | 중질유를 수소화분해로 경질유로 만드는 과정 기준. |
Simple Refining Margin | 단순한 증류 방식 기준 마진. |
Crack Spread (예: 3:2:1) | 휘발유와 경유 등 제품 3, 원유 2를 기준으로 한 스프레드. 미국에서 자주 사용. |
2. Reference Margin (기준 정제마진)
기업 또는 기관이 자체 기준으로 계산한 정제마진
- 예: 핀란드의 Neste는 자사 기준(Neste Reference Margin, NRM)으로 정제마진을 매일 산출합니다.
- 이는 시장 가격 외에 일정한 조건(운송비, 비용, 가공조건)을 반영하여 자체적으로 만든 비교용 수치입니다.
- 공식에는 통상적으로 다음 항목들이 포함됩니다:
- 제품 판매가 (국제 시세 기준)
- 원유 수입가
- 정제 비용
- 운송비
즉, 실제 시장 마진(Refining Margin)과는 약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으나, 추세를 분석하기에 유용하다.
3. 정리
항목 | Refining Margin | Reference Margin |
---|---|---|
의미 | 실제 정제마진 (시장 기반) | 참고용 정제마진 (기관 기준) |
활용 | 수익성 판단, 투자 | 추세 비교, 내부 분석 |
제공처 | 시장 분석기관, 언론 등 | 기업(Neste 등) 자체 발표 |
데이터 갱신 | 일반적으로 시장 단위 (일/주) | 대부분 일간 기준 |
정유사의 수익성과 정제마진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정제마진은 정유사의 핵심 수익원이기 때문에, 이 지표만 봐도 수익성의 큰 흐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정제마진만으로 수익성을 완전히 설명하긴 부족하며, 함께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꽤 많다.
1. 정제마진과 수익성의 관계
- 정제마진이 높다 → 제품 판매가가 원유 구매비와 가공비를 초과 → 정유사의 영업이익 증가
- 정제마진이 낮다 → 손익분기점을 넘기 어렵고, 적자 가능성도 있음
※ 특히 정제마진이 배럴당 5달러 이상이면 안정적인 수익, 7~10달러 이상이면 호황, 3달러 이하이면 수익성 위축으로 판단되곤 한다. (단, 회사마다 손익분기점은 다를 수 있음)
2. 정유사의 수익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
요소 | 설명 |
---|---|
① 정제마진 | 핵심 수익원. 높을수록 수익 증가. |
② 유가 수준 | 원유 가격 자체가 원가. 유가가 급등하면 정제마진이 악화될 수 있음. |
③ 원유-제품 가격 스프레드 | 특정 제품 (예: 항공유, 경유 등)의 마진이 높으면 수익성 개선. |
④ 설비 가동률 | 가동률이 낮으면 고정비 부담 증가 → 수익성 악화. |
⑤ 재고 손익 | 유가가 급변하면 기존 원유/제품 재고 평가 손익이 발생. |
⑥ 환율 | 원유는 달러로 수입, 제품은 원화로 판매 → 환율에 따라 수익성 변화. |
⑦ 석유화학 부문 수익 | 정유사는 보통 석유화학도 병행하므로, 그 수익도 영향을 줌. |
⑧ 친환경/탄소배출 규제 | 투자 비용 증가 가능성, 향후 마진에 영향. |
3. 기타
일반적으로 정제마진과 유가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지만 정유업체의 수익은 실질적으로 원유 가격과 석유제품 가격의 차이에서 발생하므로 유가 그 자체보다는 정제마진이 정유업체의 수익성을 더 정확하게 반영한다. 유가가 하락하더라도 하락을 견인한 요인이 수요감소가 아니라 공급측에서의 증산이라면 이는 정유주 입장에서 석유제품 수요가 감소하는 요인이 아니라 비용이 감소하는 요인이다.
고도화시설은 원유 정제시 40~50%의 비율로 나오는 값싼 잔사유를 이용해 휘발유, 프로필렌 등 고부가가치 경질유을 생산하는 설비다. 고도화 비율이 높은 정유업체들의 경우 중유 가격이 낮아 단순마진이 역마진이 나더라도 크랙마진은 투입원료 가격이 낮아 오히려 더 높게 형성되므로 수익성이 개선될 수 있다. 국내 정유업계의 현재 고도화비율은 모두 20%를 넘어선다. 현대오일뱅크의 고도화비율은 39.1%이며 에쓰오일은 5조원을 들여 내년까지 고도화비율을 30%대로 끌어올린다.
정제마진과 함께보면 좋은 지표는 원유(WTI, Dubai, Brent) 가격, 석유제품(휘발유, 경유, 난방유, B-C유) 가격, 정유업체 고도화 비율이 있다.
※ 원유 가격(WTI) : 원유 가격(WTI) – 옐로우의 세계
< 관련 자료 >
https://en.wikipedia.org/wiki/Neste
http://petrochemical.tistory.com/
느무느무 즈알 봤습니다요? 옐로 사이트에 무지 많은 정보가 있는데 이 사이트는 우치케 운영되는 건가요? 걍 꽁짜로 아무나 볼 수 있도록 개방된 곳인가요?
사이트 운영에는 비용이 들어가니 아무래도 향후 기부나, 광고를 유치하여 충당을 해야겠죠.
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우와… 이게 블로그라니… 웬만한 증권사홈페이지 뺨때리는 수준의 홈페이지네요..
꽁꽁 숨겨놓고 나만보고 싶을만큼 볼게 많네요 앞으로 자주 들리겠습니다
광고도 한 번씩 눌러 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제업 쪽에 근무하는 일인입니다.
정제마진을 비롯하여 많은 정보를 볼 수 있어 늘 감사합니다.
질문이 있어서요..
정제마진 조회화면을 들어가면 그전에는 마진이 하나만 그래프에 표시가되었는데
요근래부터 Old 를 포함한 두개 정제마진이 표시되는데 두 마진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어 그렇네요. 제가 자세히 보지 않았네요. 공부 좀 해야겠습니다. 요즘 좀 바빠서 제대로 보지 못했군요. ^^
https://www.neste.com/releases-and-news/neste-capital-markets-day-2019-sustainable-high-margin-growth-and-cash-generation
1년 단위인지는 몰라도 계산식을 주기적으로 바꾸는 것 같네요. 그러고 보니 옛날에도 이런 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옛날 것은 사라질 것 입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늘 잘 보고 있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