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오륙도 – 명승 제24호

※ yellow의 세계 – 문화재 : http://yellow.kr/nt.jsp

※ 명승 제24호 / 부산 오륙도 (釜山 五六島) / 2007년 10월 1일 지정 / 부산 남구 용호동 936번지 등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부산 오륙도는 부산 북안 육지부인 승두말로부터 남남동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늘어서 있는 바위섬들로 오륙도란 이름은 1740년에 편찬된 동래부지 산천조(東萊府誌 山川條)에 “오륙도는 절영도 동쪽에 있다. 봉우리와 뫼의 모양이 기이하고 바다 가운데 나란히 서 있으니 동쪽에서 보면 여섯 봉우리가 되고 서쪽에서 보면 다섯 봉우리가 되어 이렇게 이름한 것이다.

 

(五六島在絶影島東 峯巒奇古列之海中 自東視之則爲六峯 自西視之則爲五峯 故名之 以此)”라 기록된 바와 같이 보는 사람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데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일설에는 방패섬과 솔섬의 아래 부분이 거의 붙어 있어 썰물일 때는 우삭도라 불리우는 하나의 섬으로 보이나 밀물일 때는 두 개의 섬으로 보인다는 데서 온 것이라고도 하나 이는 19세기 일본인이 잘못 기록한 내용에 의한 오해라는 주장이 있다.)

 

승두말에서 가까운 섬부터 우삭도(밀물시에는 방패섬과 솔섬으로 나눠짐),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의 순서로 늘어서 있으며, 각 섬마다 수직에 가까운 해안절벽과 파도의 침식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파식대와 각양 각색의 해식동 등 기이하고 다양한 해양지형과 오랜 세월동안 사람의 간섭을 받지 않고 자라온 동식물들, 그리고 짙푸른 바다가 한데 어우러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오륙도는 섬의 수가 5개 또는 6개로 보인다는 신비감과 함께 오륙도 앞의 항로는 신라시대 해상왕 장보고가 무역을 하기 위해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지금도 대한민국을 들어서는 주요 해상 관문의 하나이다. 또한 예로부터 시인 묵객들의 제영이 끊이지 않아 오륙도를 주제로 한 많은 노래와 시가 전하는 등 오랜 기간 동안 부산 시민의 정서상 ‘부산의 표징’ 역할을 해 오는 등 부산을 대표하는 섬으로 상징성이 매우 큰 아름다운 명승지이다.

오륙도(五六島)는 영도구(影島區)의 조도(朝島)와 마주보며, 부산만 북쪽의 승두말로부터 남동쪽으로 6개의 바위섬이 나란히 뻗어 있다. 이 섬들은 육지에서 가까운 것부터 방패섬(2,166㎡)·솔섬(5,505㎡)·수리섬(5,313㎡)·송곳섬(2,073㎡)·굴섬(9,716㎡)·등대섬(3,416㎡)으로 나누어진다. 등대섬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무인도이다.

 

오륙도는 대한민국의 관문이며 부산항을 드나드는 각종 선박은 반드시 이곳을 지나야 하기 때문에 부산항의 상징이기도 하다. 특히 노산 이은상의 오륙도시와 오륙도 일출은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오륙도 五六島  – 이은상

 

五六島 다섯 섬이 다시 보면 여섯 섬이
흐리면 한두 섬이 맑으신 날 五六島라
흐리락 맑으락 하매 몇 섬인 줄 몰라라.

 

취하여 바라보면 열 섬이 스무 섬이
안개나 자욱하면 아득한 먼 바다라
오늘은 비 속에 보매 더더구나 몰라라.

 

그 엣날 어느 분도 저 섬을 헤다 못해
헤던 손 내리고서 五六島라 이르던가
돌아가 나도 그대로 어렴풋이 전하리라.

사실 조용필의 <돌아와요 부산항에>에 나오는 가사 “꽃피는 동백섬에 봄이 왔건만/ 형제 떠난 부산항에 갈매기만 슬피 우네/ 오륙도 돌아가는 연락선마다/ 목메어 불러 봐도 대답 없는 내 형제여….”가 더 유명하다(?).

 

섬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12만 년 전까지는 육지에 이어진 하나의 소반도(小半島)였다가 유구한 세월 동안 거센 파도의 침식작용으로 육지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것은 육지인 승두말과 인접한 방패섬과 솔섬의 지질 구성이 동일하다는 사실로도 증명된다. 섬 주변은 조류가 매우 빨라 뱃길이 위험하였기 때문에 옛날 이곳을 지나는 뱃사람들은 항해의 무사함을 기원하기 위하여 해신에게 공양미를 바쳤다고 전해진다.

 

 

1

– 신선대 방향에서의 오륙도 (출처 : 위키백과)

– 오른쪽에서부터 등대섬, 굴섬, 송곳섬, 수리섬, 우삭도(솔섬, 방패섬)

– 우삭도의 또 다른 이름인 방패섬은 방패처럼 생겨 세찬 바람과 파도를 막아준다는 데서 유래했다. 솔섬은 섬의 꼭대기에 소나무가 자라서 그렇다. 수리섬은 갈매기를 사냥하기 위해 물수리·솔개·매 등 수리류가 많이 모여들어서 이름이 지어졌다. 수리섬에는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온 명나라 장수 만세덕(萬世德)의 비가 있었다고 해서 비석섬이라고도 불렀다. 세찬 바람으로 이 비석은 어느 땐가 없어졌다. 송곳섬은 섬의 모양이 뾰족하게 생겨서 이름이 붙었다. 굴섬은 오륙도 중 가장 큰 섬이다. 섬 가운데 굴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이 굴에서 자식을 빌면 아들을 낳는다고 해서 사람들이 많이 찾았단다. 육지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등대섬은 모양이 평평해 밭섬으로 불리다 등대가 생긴 이후에 이름이 바뀌었다.

 

 

2

– 오륙도 해맞이공원에서 보면 2~3개의 섬으로 보인다.

 

 

3

– 선착장에서 본 오륙도. 관광객과 낚시꾼을 위해서 오륙도에 상륙하는 배가 매일 대략 1시간 간격으로 있다.

 

 

4

– 해운대 동백섬에서 본 오륙도

 

 

5

– 태종대에서 본 오륙도

 

 

6

– 오륙도 스카이워크는 높이 37m의 부산만 북쪽의 해안 절벽 승두말에 설치되었다. 형태는 9m가량 바다 쪽으로 돌출된 U자형의 되돌아올 수 있는 유리 전망대이다. 전체 폭은 지지대를 포함하여 5m이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오륙도 스카이 워크를 따라 강판 유리로 울타리가 쳐져 있다. 바닥부터 울타리까지 모두 유리로 되어 있어 신발 위에 덧신을 신고 올라가야 하며, 유리 파손의 위험 때문에 등산 스틱 사용은 금지되어 있다.

 

 

7

– 오륙도 스카이워크에서 바라본 해운대 방향

 

 

8

– 오륙도sk뷰 아파트. 15개동 3000여 가구의 대단지 아파트이다.

 

 

9

– 네이버 지도(위성)에서의 오륙도

 


<참고자료 및 관련자료>

 

문화재청 : http://www.cha.go.kr/

한국관광공사

네이버 지식백과

부산 오륙도 – 명승 제24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