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브람스 – 교향곡3번 3악장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 1833-1897)의 교향곡 3번 F장조(Op. 90) 제3악장(Poco allegretto)은 브람스의 교향곡 3번 중에서 가장 널리 사랑받는 부분이다. 교향곡 3번 3악장은 그의 교향곡 중에서도 가장 감성적인 악장으로, 영화, 샹송, 팝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다. ※ 옐로우의 클래식

베토벤 – 교향곡 9번(합창) 4악장

베토벤의 교향곡 9번 ‘합창’《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은 베토벤의 마지막 교향곡으로, 귀가 거의 들리지 않는 상태에서 1824년에 완성되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곡 중의 하나이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 다니엘 바렌보임(Daniel Barenboim) / West-Eastern Divan

드보르자크 – 슬라브 무곡 Op.72, no.2

‘슬라브 무곡 Op.72, no.2’는 드보르자크(Antonín Dvořák)의 《슬라브 무곡 (Slavonic Dances)》 16곡 중에서 가장 유명한(?) 극히 서정적인 명작이다. 특히 크라이슬러가 바이올린 독주곡으로 편곡하여 더욱 유명해졌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 런던필하모니관현악단(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 앨범 : The 100 Most Essential Pieces

브람스 – 헝가리 무곡 1번

브람스의 21편의 헝가리 무곡 중에서 1번, 5번, 6번이 특히 사랑을 받아, 관현악용으로 편곡되어 연주회에서도 자주 다루어 진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 카티아 부니아티쉬빌리(Khatia Buniatishvili), 유자 왕(Yuja Wang)의 연탄곡     《헝가리 무곡(Hungarian Dances)》은 독일 출신의 작곡가인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가

비발디 –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 작품 3, 제6번

비발디(Antonio Vivaldi, 1678~1741)의 《사계》도 유명하지만 《조화의 영감 (L’estro Armonico)》이라는 표제가 붙은 바이올린 협주곡 A단조 작품 3 (Vivaldi Violin Concerto in A minor,RV 356 Op 3 No 6)의 12곡도 유명하다. 1711년 비발디가 ‘협주곡’이라는 장르의 작품으로 최초로 출판한 작품집이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여기에서는

모차르트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622 – 2악장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K.622(Clarinet Concerto in A major, K. 622)는 모차르트(Mozart)가 죽기 두 달 전인 1791년 10월에 작곡되었다. 관현악의 웅장함에 대비되는 독주악기의 절제된 아름다움을 완벽하게 보여주는 걸작으로 손꼽힌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 – 자비네 마이어(Sabine Meyer) / 베를린 필하모니 관현악단(Berliner

베토벤 – 교향곡 5번(운명교향곡) 2악장

가장 유명한 교향곡인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교향곡 5번(Symphony No. 5, 운명교향곡)의 2악장 베토벤 교향곡 5번, 괴테는 ‘그저 경탄할 수밖에 없는 위대한 음악’이라고 평했다. 정말로 그런 것 같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Nikolaus Harnoncourt) / 유럽 체임버 오케스트라(Chamber

하차투리안 – 가면무도회 모음곡 중 제1곡 왈츠 (Masquerade Suite 1.Waltz)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의 가면무도회 모음곡 중 제1곡 왈츠는 쇼스타코비치의 “The Second Waltz”와 더불어 가장 인기있는 러시아 왈츠 중 하나이다. ※ 옐로우의 클래식 : http://yellow.kr/lifeView.jsp?s=yellowClassic – RCA Victor Symphony Orchestra / 키릴 콘드라신(Kiril Kondrashin) 지휘 (1958) 소련의 대표적인 작곡가 하차투리안(Aram Khachaturian)은 1903년 소련 연방의

그리그 – 페르귄트 모음곡 – 아니트라의 춤

아니트라의 춤 (Anitra’s Dance)은 페르귄트 제 1모음곡의 3번째 곡이다. ※ 그리그 – 페르귄트 모음곡 (Peer Gynt Suite) : http://yellow.kr/blog/?p=3040  – CSSR State Philharmonic Orchestra / 지휘 : Stephen Gunzenhauser  / 1988 Recording NAXOS   페르귄트는 사막의 베두윈족을 만나 추장의 딸 아니트라에게 반하게 되는데, 아니트라의

그리그 – 페르귄트 모음곡 – 아침의 기분

그리그(Edvard Grieg)의 페르귄트 제1모음곡 중 첫 곡인 ‘Morning Mood’는 보통 ‘아침의 기분'(아침의 노래, 아침)이라고 한다. ※ 그리그 – 페르귄트 모음곡 (Peer Gynt Suite) : http://yellow.kr/blog/?p=3040  – 베를린 필하모닉(Berliner Philharmoniker) / 카라얀(Herbert von Karajan) ‘아침의 기분’는 페르귄트가 맞이한, 새벽빛이 서서히 떠오르는 모로코의 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