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 hsy6685

복잡계와 멱함수

복잡계(Complex system)를 일반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위키백과 등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복잡계 이론은 자연과학에서 시작되어 전 학문으로 확대되고 있는 이론이다. 복잡계는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수많은 구성 요소로 구성된 시스템이다. 많은 경우에 노드(node)가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링크(link)가 상호 작용을하는 네트워크(network)와 같은 시스템으로 복잡계를 표현할 수 있다. 복잡계의 예로는 지진, 산불, 주식 시장, 글로벌 기후, […]

무라카미 하루키 – 1Q84

책의 대표적인 음악인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를 시작으로 『1Q84 』에 나오는 음악들을 정리해 보았다. # 야나체크 – 신포니에타 (Janacek – Sinfonietta) 택시 라디오에서는 FM방송의 클래식 음악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곡은 야나체크의 <신포니에타>. 정체에 말려든 택시 안에서 듣기에 어울리는 음악이랄 수는 없었다. 운전기사도 딱히 음악에 귀를 기울이는 것 같지는 않았다. 중년의 운전기사는 마치 뱃머리에 서서 불길한 물때를 읽어내는 노련한 어부처럼 앞쪽에 끊임없이 […]

완도 정도리 구계등 – 명승 제3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유산 : https://yellow.kr/nt.jsp / ※ 명승名勝 – 옐로우의 블로그 ※ 명승 제3호 / 완도 정도리 구계등(莞島 正道里 九階燈)  / 1972년 7월 26일 지정 / 전남 완도군 완도읍 정도리 151, 앞해면 일대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완도읍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있는 구계등은 그 이름에 대한 유래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파도에 밀려 표면에 […]

빠삐용 – Free as the wind

“Free as the wind”는 영화 『빠삐용(Papillon)』의 메인 테마에 가사를 붙여 만든 노래이다. 제리 골드스미스(Jerry Goldsmith)가 만든 영화음악에는 가사가 없었는데 Hal Shaper가 가사를 붙였고, 가수 앤디 윌리엄스(Andy Williams)와 잉글버트 험퍼딩크(Engelbert Humperdinck)가 이를 불러 유명해졌다. ※ 옐로우의 영화음악 – 옐로우의 세계 – 제리 골드스미스의 영화 빠삐용의 메인 테마  영화 ‘빠삐용’은 1973년 작품으로 가혹한 형무소에서 탈출을 시도하여 결국 성공하는 종신수의 실화를 바탕으로 […]

아카데미 음악상 조회

※ 조회 : https://yellow.kr/musicView.jsp?s=AcademyBestOriginalScore   아카데미 음악상(Academy Award for Best Original Score)은 아카데미상의 부문 중 하나로, 그 해 공개된 영화에서 가장 뛰어난 영화 음악이 사용 된 작품과 그 작곡자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1934년 제 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마련됐다.   화면은 다음과 같다. (‘옐로우의 세계’는 구글, 네이버에서 검색됨) 듣기를 클릭하면 유튜브나 블로그로 이동한다. OST 전체나 OST에서 가장 유명했던 곡을 […]

TED 스프레드

※ TED 스프레드 조회 : https://yellow.kr/financeView.jsp?s=TEDSpread   금융 신용경색(credit risk)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TED 스프레드는 3개월물 미국국채(T-Bill) 수익률과 3개월물 리보(LIBOR)금리의 차이를 뜻한다. TED는 미국 국채(T-Bill, Treasury Bill)와 유로달러(Euro Dollar)의 약자로, 유로달러란 유럽의 은행에 예치된 미국 달러를 말한다. 리보금리는 국제금융시장의 중심지인 영국 런던의 은행 등 금융기관끼리 단기자금을 거래할 때 적용하는 금리로, 유로달러 시장이 국제금융에 커다란 역할을 하고 […]

빅뱅 – If You

빅뱅(BIGBANG)의 노래 「IF YOU」은 2015년 7월 1일, YG 엔터테인먼트을 통해 디지털 음원으로 발표되었다. 「IF YOU」에는 멤버 지드래곤이 작사 · 작곡에 참여했다. 또 태양의 솔로 ‘눈, 코, 입’을 작업한 작곡가 디.피(Dee.P)가 작곡과 편곡을 맡았다. ※ 옐로우의 K-Pop – 옐로우의 세계 너도 나와 같이 힘들다면 우리 조금 쉽게 갈 수는 없을까 있을 때 잘할 걸 그랬어 – 빅뱅(BIGBANG) […]

공포와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

공포탐욕지수(Fear&Greed Index)는 투자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시장 상황이 얼마나 공포에 휩싸여 있는지 혹은 탐욕에 물들어 있는지를 0부터 100까지의 숫자로 나타낸다.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공포를,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낙관(탐욕)을 의미한다. CNN 비즈니스에서 7가지 지표를 종합하여 발표하며, 투자자들이 시장에 대해 느끼는 감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투자 결정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다. CNN에서 구체적인 계산식을 공개하지는 않는다. […]

파가니니 – 바이올린과 기타를 위한 소나타 6번 (Paganini – Sonata No VI for violin & guitar)

아래의 곡은 니콜로 파가니니(1782 ~ 1840)의 「바이올린과 기타를 위한 소나타 6번」이다.  드라마 ‘모래시계’의 ‘혜린의 테마’로 유명하기도 하다. ※ 옐로우의 클래식 – 옐로우의 세계 – Niccolò Paganini (1782-1840) / Sonata No VI for violin & guitar / Federico Agostini – violin, Hans Meijer – guitar 니콜로 파가니니(Niccolò Paganini, 1782–1840)의 “Sonata No. VI for Violin and Guitar”는 그의 “Centone di Sonate”(Op. 64)라는 […]

실러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 (CAPE, Shiller PE Ratio)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 Cyclically-Adjusted Price Earnings Ratio)이란 노벨경제학상(2013년)을 수상한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 예일대 교수가 주식시장의 가치 평가를 위해 창안한 것으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와 주당 순이익 10년 평균값으로 산출한 주가수익비율이다. ※ Shiller PE Ratio 조회  : https://yellow.kr/finance/fnShillerPE.jsp 주가가 지난 10년간 평균 주당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배수가 높을수록 주식이 고평가됐다는 의미다. 2018년 3월 2일 기준으로 실러의 P/E 평균은 16.8,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