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산 해인사 일원 – 명승 제62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62호 / 가야산 해인사 일원 (伽倻山 海印寺 一圓) / 2009년 12월 09일 지정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해인사를 두고 있는 가야산은 높이가 해발 1,430m이며, 우뚝하고 기이한 모습으로 우리나라 8경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신령스러운 산이다. 이곳의 돌과 물, 붉은 소나무숲은 다른 절이나 명산에서도 보기 힘든 자연경관을 갖고 있다. 해인사는 […]

남해 금산과 보리암 – 명승 제39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39호 / 남해 금산 (南海 錦山)  / 2008년 5월 2일 지정 / 경남 남해군 상주면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남해 금산』은 지리산맥이 남쪽으로 뻗어내려 형성된 산으로 원래 원효대사가 이곳에 보광사라는 사찰을 지은 뒤 산 이름이 보광산으로 불리어 왔으나, 태조 이성계가 이곳에서 백일기도를 드린 뒤 왕위에 등극하게 되자 […]

양양 낙산사 의상대와 홍련암 – 명승 제27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명승 제27호 / 양양 낙산사 의상대와 홍련암 (襄陽 洛山寺 義湘臺와 紅蓮庵) / 2007년 12월 7일 지정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양양 낙산사 의상대와 홍련암」은 송강 정철(1536~1593)의 <관동별곡>에 소개된 관동팔경 가운데 하나로 동해 일출경으로 매우 유명한 곳이다.671년 의상대사가 창건하였다는 “낙산사”와 낙산사 창건 당시 의상대사가 관음보살을 친견한 해안 암벽 위에 […]

부산 영도 태종대 – 명승 제17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17호 / 부산 영도 태종대 (釜山 影島 太宗臺) / 2005년 11월 01일 지정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부산 태종대는 아름다운 암석의 단애로 이루어진 절승으로 부산을 대표하는 해안경관지로서 울창한 해송 숲과 함께 기암절벽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왕성한 해안침식에 의한 해식동굴, 해식애 등 아름다운 지형을 형성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남부지역의 […]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 명승 제15호 (다랭이 마을)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15호 /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南海 加川마을 다랑이 논) / 2005년 1월 3일 지정 / 경남 남해군 남면 홍현리 777번지 등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다랑이 논"은 선조들이 산간지역에서 벼농사를 짓기 위해 산비탈을 깎아 만든 인간의 삶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어 형성된 곳으로 "가천마을 다랑이 논"은 설흘산과 응봉산 […]

삼각산 (북한산) – 명승 제10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10호 / 삼각산 (三角山)  / 2003년 10월 31일 지정 / 경기 고양시  덕양구 북한동 산1-1,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삼각산(三角山)은 북한산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산봉으로서 백운대(白雲臺, 836.5m), 인수봉(人壽峰, 810.5m), 만경대(萬鏡臺, 787.0m)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쥐라기 말의 대보화강암(흑운모 화강암 또는 화강섬록암)으로 되어 있으며, 형상을 달리한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 국보 제86호

※ 황성열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국보 제86호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開城 敬天寺址 十層石塔)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고려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경천사는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부소산에 있던 절로, 고려시대 전기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 세워져 있었던 이 탑은 일제 시대에 일본으로 무단으로 반출되었던 […]

상원사 동종 – 국보 제36호

※ 황성열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국보 제36호 / 상원사 동종 (上院寺 銅鍾) / 1962년 12월 20일 지정 /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211-50, 상원사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오대산 상원사에 있는 동종으로 신라 성덕왕 24년(725)에 만들어졌다. 경주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완형의 통일신라시대 범종 3구 중 하나이며, 크기는 높이 […]

경주 첨성대 – 국보 제31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국보 제31호 / 경주 첨성대 (慶州 瞻星臺) / 신라 / 1962년 12월 20일 지정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천체의 움직임을 관찰하던 신라시대의 천문관측대로, 받침대 역할을 하는 기단부(基壇部)위에 술병 모양의 원통부(圓筒部)를 올리고 맨 위에 정(井)자형의 정상부(頂上部)를 얹은 모습으로 높이는 9.17m이다. 원통부는 부채꼴 모양의 돌로 27단을 쌓아 올렸으며, […]

성덕대왕신종 – 국보 제29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국보 제29호 / 성덕대왕신종 (聖德大王神鍾) / 1962년 12월 20일 지정 경주 국립경주박물관에 있으며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다.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는 1997년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정밀측정한 결과 18.9톤으로 확인되었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