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집트 연표, 연대표 (Egyptian chronology)

고대 이집트의 연대기는 여전히 진행령이다. 특히 성경의 ‘출애굽 사건’과 관련된 논란은 유명하다. ※ 옐로우의 세계사 연표 : https://yellow.kr/yhistory.jsp?center=-2000   아래에 비교적 유명한 연대기를 시간 순으로 나열해 보았다. 물론 최신 것이라 해서 정확하다는 것은 아닐 것이다.   ※ 연대를 나타내는 숫자는 모두 기원전    왕조  브레스티드  마이어  CAH 헬크  멜라트  버낼  이언 쇼 초기 왕조  제1왕조 […]

대비천 전투 (670년) – 당과 토번의 전쟁

앞의 글 나당전쟁과 토번(티베트)에서 언급했던, 신라의 삼국통일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던 요인 중 하나인 당唐과 토번(吐蕃)의 670년 대비천(大非川) 전투에 대해서 조사했다.   비교적 우호적 관계였던 당 태종과 토번의 송첸캄포가 거의 비슷한 시기에 사망하자 토번은 고구려와의 전쟁에 집중하고 있던 당나라를 대상으로 당의 실크로드 헤게모니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향후 200년 동안 계속되는 싸움을 통해 50년 가량을 토번이 실크로드를 장악했는데, 그 중요한 싸움들 중 […]

17세기 네덜란드의 패권

윌러스틴(Immanuel Maurice Wallerstein)에 의하면 16세기 서구에서 자본주의 세계경제의 등장 이후 17세기의 네덜란드, 19세기 영국에 이어 20세기 후반 미국이 세계체제의 헤게모니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여기에서는 네덜란드의 헤게모니 구축에 대해서 조사했고 네덜란드가 패권을 잃는 과정과 각각의 세부적인 중요 사건 또는 항목은 따로 정리하겠다.   네덜란드의 패권은 “17세기의 일반적 위기”로 알려진 유럽의 정치적 · 사회적 격변의 시기에 형성되었다. […]

17세기 위기 – 소빙하기(소빙기) 절정

‘17세기 위기 The Crisis of the Seventeenth Century‘ 또는 ‘일반 위기 The General Crisis‘라는 용어는 에릭 홉스봄, 휴 트레버-로퍼와 같은 몇몇 역사학자들이 17세기 초에서 18세기 초까지 유럽에서의 광범위한 갈등, 충돌과 불안정의 시기를 표현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주제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과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현재도 진행 중이다. 이 글에서는 기후의 관점에서 ’17세기 위기’를 설명하는 자료를 주로 수집하였는데, […]

부산 오륙도 – 명승 제24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24호 / 부산 오륙도 (釜山 五六島) / 2007년 10월 1일 지정 / 부산 남구 용호동 936번지 등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부산 오륙도는 부산 북안 육지부인 승두말로부터 남남동 방향으로 가지런하게 늘어서 있는 바위섬들로 오륙도란 이름은 1740년에 편찬된 동래부지 산천조(東萊府誌 山川條)에 “오륙도는 절영도 동쪽에 있다. 봉우리와 뫼의 모양이 기이하고 […]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 명승 제95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95호 /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雪嶽山 飛龍瀑布 溪谷 一圓) / 2013년 3월 11일 지정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산 41-0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비룡폭포는 외설악지역(外雪嶽地域)을 배수하여 동해로 흘러드는 쌍천(雙川)의 지류가 화채봉(華彩峰)의 북쪽 기슭에 만들어놓은 폭포임. 비룡폭포는 토왕골계곡의 하류 쪽에 육담폭포(六潭瀑布)와 상류 쪽에 토왕성폭포(土旺城瀑布)의 중간 지역에 있으며, […]

설악산 토왕성폭포 – 명승 제96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96호 / 설악산 토왕성폭포 (雪嶽山 土王城瀑布) / 2013년 3월 11일 지정 /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산 41-0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토왕성폭포는 외설악에 위치하고 있으며, 노적봉 남쪽 토왕골에 있다. 토왕성은 『여지도서』『양양도호부』고적조에 “토왕성(土王城) 부(府) 북쪽 50리 설악산 동쪽에 있으며, 성을 돌로 쌓았는데, 그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세상에 전해오기를 […]

플라자 합의 (Plaza Agreement) – 1985년

G5 재무장관들은 1985년 9월 22일 미국 뉴욕 플라자호텔에서 달러 대비 일본 엔화와 독일 마르크화의 절상을 유도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플라자합의(Plaza Accord, Plaza Agreement)를 도출했다. 당시 미국 재무장관이었던 제임스 베이커는 지나친 달러 강세는 세계 경제가 안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의 하나라며 달러 약세를 위한 정책 공조를 설득했다. 물론 미국은 달러 강세로 떠안은 막대한 재정, 경상수지 적자를 플라자합의로 […]

문경새재 – 명승 제32호

※ 옐로우의 세계 – 문화재 : https://yellow.kr/nt.jsp ※ 명승 제32호 / 문경새재 (聞慶 새재) / 2007년 12월 17일 지정 /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1156, 등 (상초리)   문화재청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문경새재』는 조선 태종 14년(1414년) 개통된 관도 벼슬길로 영남지방과 기호지방을 잇는 영남대로 중 가장 유명하며 조선시대 옛길을 대표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초점(草岾)’으로, <동국여지승람>에는 ‘조령(鳥嶺)’으로 기록된 길로 조선시대 영남도로에서 충청도(한강유역권)와 […]

한국 IMF사태와 아시아 금융위기 – 1997년

1997년 태국에서 시작된 아시아 금융위기와 우리나라의 IMF 구제금융 요청에 대해 자료를 수집해 보았다.   동아시아 경제가 높은 성장을 계속한 기간은 엔화 가치가 강세를 나타냈던 86~96년의 10년간이었다. 85년 9월 이른바 ‘플라자 합의’에 의해 엔 달러 환율은 달러당 2백40엔대에서 95년 4월에는 80엔대로 3분의 1 수준으로 급락했다. 그동안 일본은 ‘엔고 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아시아에 진출했다. 임금 등 생산 코스트가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