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로우의 세계
  • Home
  • 역사
  • 문화유산
  • 세계정보
  • 경제
  • 생활
  • 블로그
  • English
  • CDS 프리미엄
Finance Logo 경제 (Economy)
  • 주식 시장

    • 미국 S&P 500

    • 미국 다우 US30

    • 미국 나스닥 100

    • 미국 다우 운송지수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 미국 Put/Call Ratio

    • 미국 NYA200R

    • 미국 내부자 매수매도

    • 영국 FTSE

    • 독일 DAX

    • 일본 NIKKEI

    • 중국 주가지수

    • MSCI 세계지수

    • MSCI 신흥국지수

    • 기술적 분석

    • 글로벌 시가총액 순위

  • 외환 시장

    • 달러인덱스

    • 무역가중 달러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

    • 달러/위안

    • 위안/엔

    • 달러/원

    • 유로/원

    • 엔/원

    • 위안/원

    • 주요 통화간 환율

    • 금 보유고 순위

    • 달러와 역환매채

    • 비트코인

  • 세계 채권,금리

    • 미국 국채 10년 만기

    • 미국 기준금리와 테일러 룰

    • 미국 기대 인플레이션(BEI)

    •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

    • 미국 국채 입찰 일정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중국 국채 10년 만기

    • 영국 국채 10년 만기

    • 독일 국채 10년 만기

    • 일본 국채 10년 만기

    • 한국 국채 10년 만기

    • 세계 10년 국채수익률

    • 국가별 기준금리

    • FED 금리 모니터링 도구

    • 미국 정크본드 ETF

  • 상품 시장

    • 상품가격지수(CRB)

    • LME 지수

    • 금(Gold)

    • 은(Silver)

    • 금/은 비율

    • 구리(Copper)

    • 원유(WTI)

    • 미국 원유생산량,전략비축재고

    • 정제마진

    • 철강 (iron and steel)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 DRAMeXchange

    • 중국 폴리실리콘

    • 농산물

    • 축산물

    • 기술적 분석

  • 암호화폐 시장

    • 주요 암호화폐

    • 비트코인 차트

    • 이더리움 차트

  • 시장 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 탐욕지수

    • CDS 프리미엄

    • 미국 장단기 금리차

    • 하이일드 스프레드

    • 미국 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세인트루이스 금융스트레스지수

    • 미국 유동성 추이

    • 미국 은행 지표

    • 미국 실업률

    • 미국 연체율

    • GDP 기반 경기침체지표

    • Shiller PE Ratio

  • 참고 경제지표

    • OECD 경기선행지수

    • BDI지수(발틱운임지수)

    • 중국 운임지수

    • IMF Data Mapper

    • 국가 신용등급

  • 미국 경제지표

    • M1 통화량

    • M2 통화량

    • 미국 유동성 추이

    • 실업률

    • 소매판매

    • 기업이익

    • 인플레이션 (CPI)

    • PCE 물가지수

    • 생산자물가 상승률 (PPI)

    • 경기선행지수

    • ISM 제조업지수

    • 제조업 PMI

    • 기업 재고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등

    • 연체율

    • 원유 생산량과 전략비축재고

    • 주요 수출국,수출품목

    •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GDP, GNI, GDP Now

    • 미국 부채

  • 유로존 경제지표

    • M1 통화량

    • M2 통화량

    •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재고변동

    • 생산자물가상승률

    • 주택가격지수

    • GDP 연간 성장률

    • 유로존 부채

  • 중국 경제지표

    • 중국 M1 통화량

    • 중국 M2 통화량

    • 소매판매

    • 수출,수입,무역수지

    • 인플레이션

    • 차이신 제조업 PMI

    • 제조업 PMI

    • 생산자물가상승률

    • 주택가격지수

    • 경기선행지수

    • 재고변동

    • 주요 수출국,수출품목

    •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중국 GDP

    • 중국 부채

  • 한국 경제지표

    • 한국 M1 통화

    • 한국 M2 통화

    • 한국 수출

    • 무역수지

    • 경상수지

    • 경기선행지수

    •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소매판매

    • 재고변동

    • 주택가격지수

    • 주요 수출국,수출품목

    •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한국 GDP

    • 한국 부채

  • 투기적 순포지션

    • S&P 500

    • 유로화

    • 엔화

    • 금

    • 구리

    • 원유

  • 실시간 세계증시

    • 세계 주요 지수

    • 한국 주식 주가

  • 경제 캘린더(주간)

  • 경제 게시판

  • 블로그


"CDS 프리미엄"은 "신용부도스왑 프리미엄(Credit Default Swap Premium)"의 약칭으로, 특정 채권의 발행자가 부도가 날 위험에 대비해 투자자가 지불해야 하는 보험료를 의미합니다. 이는 채권의 신용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 널리 사용됩니다.

CDS 프리미엄이 높다는 것은 해당 채권 발행자의 부도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고 있다는 뜻이며, 반대로 낮다는 것은 부도 위험이 낮다고 평가된다는 의미입니다.


Sovereign CDS와의 관계

"Sovereign CDS"는 국가의 채무 불이행(디폴트) 위험에 대한 CDS 계약을 뜻합니다. Sovereign CDS 프리미엄은 특정 국가의 국채에 대한 부도 위험을 측정합니다.

예를 들어:

  • 한국의 Sovereign CDS 프리미엄이 50bp라면, 이는 투자자가 1억 원의 한국 국채를 보유하고 이를 CDS로 보호하려면 연간 50만 원(0.5%)을 지불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CDS 프리미엄의 일반적 적용

CDS는 Sovereign(국가)뿐 아니라 회사채 등 다양한 발행자에 대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DS 프리미엄"이라는 용어는 발행자가 국가든 기업이든 특정 채권 발행자의 부도 위험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됩니다.

요약하면:

  • "CDS 프리미엄"은 일반적인 개념이고,
  • "Sovereign CDS"는 국가 채권에 대한 CDS를 특정한 경우를 말합니다.

따라서 두 용어는 비슷한 맥락에서 사용되지만, "Sovereign CDS"는 국가에 특화된 CDS를 의미합니다.

Free As The Wind
Copyright ©   옐로우의 세계.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