옐로우의 세계
  • Home
  • 역사
  • 문화유산
  • 세계정보
  • 경제
  • 생활
  • 블로그
  • English
  • Shiller PE Ratio
Finance Logo 경제 (Economy)
  • 주식 시장

    • 미국 S&P 500

    • 미국 다우 US30

    • 미국 나스닥 100

    • 미국 다우 운송지수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 미국 Put/Call Ratio

    • 미국 NYA200R

    • 미국 내부자 매수매도

    • 영국 FTSE

    • 독일 DAX

    • 일본 NIKKEI

    • 중국 주가지수

    • MSCI 세계지수

    • MSCI 신흥국지수

    • 기술적 분석

    • 글로벌 시가총액 순위

  • 외환 시장

    • 달러인덱스

    • 무역가중 달러지수

    • 유로/달러

    • 달러/엔

    • 달러/위안

    • 위안/엔

    • 달러/원

    • 유로/원

    • 엔/원

    • 위안/원

    • 주요 통화간 환율

    • 금 보유고 순위

    • 달러와 역환매채

    • 비트코인

  • 세계 채권,금리

    • 미국 국채 10년 만기

    • 미국 기준금리와 테일러 룰

    • 미국 기대 인플레이션(BEI)

    • 미국 국채 수익률곡선

    • 미국 국채 입찰 일정

    • 중국 채권 수익률곡선

    • 중국 국채 10년 만기

    • 영국 국채 10년 만기

    • 독일 국채 10년 만기

    • 일본 국채 10년 만기

    • 한국 국채 10년 만기

    • 세계 10년 국채수익률

    • 국가별 기준금리

    • FED 금리 모니터링 도구

    • 미국 정크본드 ETF

  • 상품 시장

    • 상품가격지수(CRB)

    • LME 지수

    • 금(Gold)

    • 은(Silver)

    • 금/은 비율

    • 구리(Copper)

    • 원유(WTI)

    • 미국 원유생산량,전략비축재고

    • 정제마진

    • 철강 (iron and steel)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 DRAMeXchange

    • 중국 폴리실리콘

    • 농산물

    • 축산물

    • 기술적 분석

  • 암호화폐 시장

    • 주요 암호화폐

    • 비트코인 차트

    • 이더리움 차트

  • 시장 위험지표

    • VIX지수(변동성지수)

    • 공포와 탐욕지수

    • CDS 프리미엄

    • 미국 장단기 금리차

    • 하이일드 스프레드

    • 미국 10년 국채와 Baa채권 갭

    • 세인트루이스 금융스트레스지수

    • 미국 유동성 추이

    • 미국 은행 지표

    • 미국 실업률

    • 미국 연체율

    • GDP 기반 경기침체지표

    • Shiller PE Ratio

  • 참고 경제지표

    • OECD 경기선행지수

    • BDI지수(발틱운임지수)

    • 중국 운임지수

    • IMF Data Mapper

    • 국가 신용등급

  • 미국 경제지표

    • M1 통화량

    • M2 통화량

    • 미국 유동성 추이

    • 실업률

    • 소매판매

    • 기업이익

    • 인플레이션 (CPI)

    • PCE 물가지수

    • 생산자물가 상승률 (PPI)

    • 경기선행지수

    • ISM 제조업지수

    • 제조업 PMI

    • 기업 재고

    • 산업생산 증가율

    • 가동률

    • 주택착공건수

    • 주택가격지수

    • 미시건대 소비자심리지수 등

    • 연체율

    • 원유 생산량과 전략비축재고

    • 주요 수출국,수출품목

    •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GDP, GNI, GDP Now

    • 미국 부채

  • 유로존 경제지표

    • M1 통화량

    • M2 통화량

    •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재고변동

    • 생산자물가상승률

    • 주택가격지수

    • GDP 연간 성장률

    • 유로존 부채

  • 중국 경제지표

    • 중국 M1 통화량

    • 중국 M2 통화량

    • 소매판매

    • 수출,수입,무역수지

    • 인플레이션

    • 차이신 제조업 PMI

    • 제조업 PMI

    • 생산자물가상승률

    • 주택가격지수

    • 경기선행지수

    • 재고변동

    • 주요 수출국,수출품목

    •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중국 GDP

    • 중국 부채

  • 한국 경제지표

    • 한국 M1 통화

    • 한국 M2 통화

    • 한국 수출

    • 무역수지

    • 경상수지

    • 경기선행지수

    • 인플레이션

    • 제조업 PMI

    • 소매판매

    • 재고변동

    • 주택가격지수

    • 주요 수출국,수출품목

    • 주요 수입국,수입품목

    • 한국 GDP

    • 한국 부채

  • 투기적 순포지션

    • S&P 500

    • 유로화

    • 엔화

    • 금

    • 구리

    • 원유

  • 실시간 세계증시

    • 세계 주요 지수

    • 한국 주식 주가

  • 경제 캘린더(주간)

  • 경제 게시판

  • 블로그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 Cyclically-Adjusted Price Earnings Ratio)이란 노벨경제학상(2013년)을 수상한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 예일대 교수가 주식시장의 가치 평가를 위해 창안한 것으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와 주당 순이익 10년 평균값으로 산출한 주가수익비율이다.


1. Shiller PE Ratio (CAPE)의 정의
  • Shiller PE Ratio는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쉴러(Robert Shiller)**가 개발한 지표로, S&P 500 지수의 현재 가격을 과거 10년간 평균 실질(인플레이션 조정) 수익으로 나눈 값입니다.
  • 공식: S&P500 CAPE = S&P500 실질가격 / S&P500 실질EPS의 과거 10년 평균


2. CAPE의 특징
  • 인플레이션 조정: 실질 이익(Real Earnings)을 사용해 과거 데이터를 현재 기준으로 조정합니다.
  • 10년 평균: 이익 변동성을 완화하고, 경기 순환(cyclicality)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과거 10년의 데이터를 평균으로 사용합니다.
  • 장기적 관점: 단기적인 시장 변동보다는 장기적 과대평가(overvaluation) 또는 과소평가(undervaluation) 상태를 평가하는 데 적합합니다.


3. CAPE와 일반 PE Ratio의 차이
  • 일반 PE Ratio: 현재 주가를 직전 12개월의 순이익으로 나눔.
    • 단기적 변동에 민감하며, 경기 사이클에 따라 크게 변할 수 있음.
  • CAPE(Shiller PE Ratio): 10년 평균 이익을 사용해 경기 사이클의 영향을 줄임.
    • 시장의 장기적 밸류에이션 상태를 더 정확히 반영.


4. CAPE의 해석
  • 높은 CAPE 값:
    • 주식 시장이 과대평가되어 있음을 나타냄.
    • 향후 주식 수익률이 낮을 가능성을 암시.
    • 예: 2000년 닷컴 버블 당시 CAPE는 약 44에 달함.
  • 낮은 CAPE 값:
    • 주식 시장이 과소평가되어 있음을 나타냄.
    • 향후 주식 수익률이 높을 가능성을 암시.
    • 예: 2008년 금융위기 이후 CAPE는 약 13까지 하락.
  • 역사적 평균과 비교:
    • 미국 S&P 500의 역사적 CAPE 평균은 약 16~17로 알려져 있음.
    • 현재 CAPE가 평균을 크게 초과하거나 미달할 경우 시장의 과열 또는 침체를 평가하는 데 유용.


5. CAPE의 한계
  • 이익의 품질 문제:
    • 과거 10년간의 이익 데이터가 회계 기준 변경이나 일회성 사건에 의해 왜곡될 수 있음.
  • 경제 구조 변화:
    • 과거 데이터가 현재 경제 환경과 맞지 않을 수 있음.
    • 예: 기술 기업의 부상으로 전통적인 밸류에이션 모델과 차이가 발생.
  • 미래 예측 한계:
    • CAPE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므로, 미래 이익 성장을 정확히 예측하지는 못함.


6. CAPE의 주요 활용
  • 시장 밸류에이션 평가:
    • 현재 시장이 과대평가 또는 과소평가 상태인지 판단.
  • 포트폴리오 전략:
    • CAPE가 높으면 주식 비중을 줄이고, CAPE가 낮으면 주식 비중을 늘리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음.
  • 장기 투자 계획:
    • CAPE는 단기적 시장 타이밍보다는 장기적 투자 결정을 지원하는 데 유용.


7. Shiller PE Ratio의 역사적 맥락
  • 닷컴 버블(2000년): CAPE가 44까지 상승 → 이후 주식 시장 붕괴.
  • 2008년 금융위기: CAPE가 13까지 하락 → 이후 강한 시장 반등.
  • COVID-19 팬데믹(2020년): CAPE가 팬데믹 초기에는 하락했으나, 이후 유동성 공급과 경제 회복 기대감으로 다시 상승.


결론

Shiller PE Ratio(CAPE)는 주식 시장의 장기적 밸류에이션을 평가하는 데 강력한 도구입니다. 특히, 경기 순환의 영향을 조정해 현재 시장 상황을 더 정확히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다만, 단기적인 시장 예측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활용해야 하며, 다른 지표들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Free As The Wind
Copyright ©   옐로우의 세계.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