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통화량 M2와 부동산, 주식의 상관관계

장기적인 관점에서 평가할 때 인플레이션은 통화량과 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수십 년간의 자료를 이용해 인플레이션과 통화량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국가에서 양자 간에 상당히 높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대표적인 통화지표인 총통화(M2)와 인플레이션 추이는 밀접한 관계가

하이일드 스프레드

고위험, 고수익을 대표하는 하이일드 채권(High-Yield Bond)은 투자 등급 채권보다 신용 등급이 낮은 회사가 발행한 채권으로 원리금 상환에 대한 불이행 위험이 높지만 그만큼 이자율도 높다. 세계적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Moody’s) 평가기준으로 ‘Ba1’ 이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평가기준으로 ‘BB’ 이하인 채권이 이에 속한다. 하이일드 채권은 ‘정크본드(junk

인플레이션율

※ 인플레이션율 (inflation rate) – 미국 : http://yellow.kr/financeView.jsp?s=inflation-cpi_US – 중국 : http://yellow.kr/financeView.jsp?s=inflation-cpi_CHINA – 한국 : http://yellow.kr/financeView.jsp?s=inflation-cpi_KOREA   – 미국의 인플레이션율     인플레이션은 물가수준이 전반적 ·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경제현상을 말한다. 여기에서 물가수준은 많은 개별상품의 가격을 일정한 방법으로 평균하여 산출한 물가지수(price index)로써 측정한다.

통화지표 – M0, MB, M1, M2, M3

  – 미국 통화지표 M2와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보여주는 위의 그래프에서 앞으로의 변화가 궁금하다. 일반적으로 통화량의 증가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데… 강력한 인플레가 올까?   우선 통화지표가 뭔지 좀 알아봐야겠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화폐(돈)의 양, 즉 통화량은 얼마나 될까? 사실 화폐란 현금만이 아니고 유동성에

콘드라티예프 파동

경기변동은 경제가 호황-후퇴-불황-회복의 경기 국면을 주기적으로 순환하는 현상을 말한다. 경기변동의 주요 파동으로 유명한 것은 40개월(3~5년) 주기로 움직이는 키친 파동(Kitchin cycles), 10년(7~11) 주기의 주글라 파동(Juglar cycles), 17년 주기의 한센 파동, 15~25년 주기의 쿠즈네츠 파동(Kuznets swing), 45년~60년 주기의 콘트라티예프 파동(Kondratiev wave)이 있다.

MSCI 지수

※ MSCI 세계지수 조회 : http://yellow.kr/financeView.jsp?s=ACWI ※ MSCI 신흥국지수 조회 : http://yellow.kr/financeView.jsp?s=EEM   MSCI 지수는 미국의 모건스탠리(정확하게는 자회사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가 발표하는 세계 주가지수이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투자하는 글로벌 펀드 특히 미국계 펀드 운용에 주요 지표로 사용되기 때문에 그 영향력은 지대하다.   MSCI 지수는

TED 스프레드

※ TED 스프레드 조회 : http://yellow.kr/financeView.jsp?s=TEDSpread   금융 신용경색(credit risk)의 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는 TED 스프레드는 3개월물 미국국채(T-Bill) 수익률과 3개월물 리보(LIBOR)금리의 차이를 뜻한다. TED는 미국 국채(T-Bill, Treasury Bill)와 유로달러(Euro Dollar)의 약자로, 유로달러란 유럽의 은행에 예치된 미국 달러를 말한다. 리보금리는 국제금융시장의 중심지인 영국

공포와 탐욕 지수 (Fear & Greed Index)

공포탐욕지수(Fear&Greed Index)는 투자 심리를 나타내는 지표로, 현재 시장 상황이 얼마나 공포에 휩싸여 있는지 혹은 탐욕에 물들어 있는지를 0부터 100까지의 숫자로 나타냅니다. 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공포를,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인 낙관(탐욕)을 의미합니다. CNN 비즈니스에서 7가지 지표를 종합하여 발표하며, 투자자들이 시장에 대해 느끼는

실러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 (CAPE, Shiller PE Ratio)

※ Shiller PE Ratio 조회  : http://yellow.kr/financeView.jsp?s=shiller_pe   경기조정주가수익비율(CAPE, Cyclically-Adjusted Price Earnings Ratio)이란 노벨경제학상(2013년)을 수상한 로버트 실러(Robert Shiller) 예일대 교수가 주식시장의 가치 평가를 위해 창안한 것으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지수와 주당 순이익 10년 평균값으로 산출한 주가수익비율이다.   주가가 지난 10년간 평균 주당순이익의